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 Environ Health Sci. 2024; 50(6): 407-417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5668/JEHS.2024.50.6.40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Dong Yun Park1 , Chae Kwan Lee1,2*
박동윤1, 이채관1,2*
Correspondence to:*Institute of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Medical School,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najin-gu, Busan 47392, Republic of Korea
Tel: +82-51-890-5931
Fax: +82-51-895-7040
E-mail: lck3303@daum.net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ㆍ The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in residential areas was lower the closer they were to the SWI.
ㆍ Negative perceptions of the SWI increased the closer the area was to it.
ㆍ Residents closest to the SWI mainly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resident support committee, while information from local authorities was low in all areas.
Background: Solid waste incinerators (SWI) impact surrounding residents’ health, mental well-being, property values, and community image. Despite efforts by authorities to address conflicts, negative perceptions of SWI persis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erceptions of SWI operation among residents at varying distances, providing data to improve public perceptions in the area.
Methods: The study focused on an region around a SWI divided into three areas based on distance in one direction: Area A (<0.5 km), Area B (0.5~3.0 km), and Area C (3.0~6.0 km). A survey of 1,400 residents (A=600, B=400, C=400) included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satisfaction,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al,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of the SWI, its operation, and information sources. Responses to each survey item were categorized by area and the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Chi-square test, Kruskal-Wallis test, an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mpa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urvey results (SPSS 29.0.2.0).
Results: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lower in the area closer to the SWI. Residents of this area were more sensitive to air pollution and odors, perceiving the SWI as a source of psychological stress and economic hardship. Residents felt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and insufficient efforts by local authorities increased distrust. A “Resident Support Committee” provided information to residents in the nearby area, while other residents relied on informal sources. Use of the city hall website was low in all area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ssue of residents’ percep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SWI needs to be addressed. Therefore, local authorities have to enhance transparency, regularly disclose updates on SWI operations, and establish communication systems to rebuild trust with residents. Efforts are also needed to more actively incorporate residents’ opinions and engage in various initiatives.
KeywordsIncinerator, perception, residents, distance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산업 폐기물과 도시 생활폐기물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현대 사회에서 환경과 사회 그리고 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은 소각, 매립, 재활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해 왔다.1) 그러나 우리나라는 매립을 통한 폐기물 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2,3) 2026년부터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된다.4) 이에 따라 지자체에서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소각과 재활용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5)
폐기물 소각은 소각 전과 후 폐기물의 부피 감소율이 높아 매립에 비해 많은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소각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전기와 난방에너지로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6) 그러나 폐기물 소각은 미세먼지, 중금속, 다이옥신(Dioxin),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olybrominated dipheyl ethers, PBDEs),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등 다양한 오염물질을 환경으로 배출할 수 있다.7,8) 그리고 환경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은 인간에게 노출되어,9-11) 생식기계 이상, 내분비계 장애,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하거나 발암 위험을 증가시키는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14)
우리나라에서 폐기물 소각장, 매립지와 같은 기피 시설과 발전소, 변전소, 수용시설 등의 비선호 시설의 입지와 운영에 따른 지자체와 주민 간의 갈등은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되었다.15) 이러한 갈등은 님비현상(Not In My Backyard Syndrome, NIMBY Syndrome)으로 알려져 있다.16) 특히, 폐기물 소각장은 님비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기피 시설 중 하나로 해당 시설이 위치한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환경과 건강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된다.17,18) 그리고 최근에는 주민들의 정신적 건강19)과 집값, 땅값 등의 경제적 문제,20) 해당 지역의 이미지에도 영향21)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주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폐기물신설촉진법(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설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지원과 보상 제도를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22) 그리고 2014년부터 폐기물 소각장과 같은 기피 시설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ㆍ판매하고, 문화와 관광 등의 자원으로 활용하는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23) 이를 통해 지역 사회의 님비현상을 극복하고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기피 시설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시설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여전히 남아 있다.15,21)
이 연구는 폐기물 소각장을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각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지역의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지역 주민들의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지역은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민과 지자체 간 협의를 통해 법정동을 기준으로 주요 도로와 지정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3개 지역(A, B, C)으로 구분하였다(Fig. 1). A 지역은 폐기물 소각장으로부터 0.5 km 이내 지역이며, B 지역과 C 지역은 각각 약 0.5~3.0 km, 3.0~6.0 km 떨어진 지역이다. A 지역은 폐기물신설촉진법(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자체에서 지정한 폐기물 소각장 주변영향지역이며, B와 C 지역은 A 지역과 거주환경이 비슷한 일반도시지역이었다. 폐기물 소각장은 하루 약 150톤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며, 2001년부터 가동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설문조사는 설문 내용과 방법에 대해 사전에 교육받은 조사원과 참여자의 1대1 면접 방식(Interview survey)으로 수행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20년 6월부터 7월까지였다. 연구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주민은 약 116,000명이었으며, 설문 대상자는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민들과 지자체의 협의에 따라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총 1,400명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지역별 설문 대상자는 가장 인접한 A 지역이 600명, 그리고 거리에 따라 B 지역과 C 지역은 각각 400명이었으며, 성별과 나이에 따른 대상자는 인구비례를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1)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2)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3)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 (4)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도, (5)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등이었다(Table 1).
Table 1 Structure of questionnaire
Category | Question no. | Items |
---|---|---|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Q1-6 | Area (distance from SWI), sex, age, monthly income (thousand won), education level, duration of residence (yr) |
(2)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 Q7 | - |
(3) Perception of environmental,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caused by the solid waste incinerator | Q8-10 | Environmental (air pollution, foul odor, noise) impact |
Q11-13 |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 |
(4) Perceptions of solid waste incinerator operation status | Q14 | Awareness that incinerator existed |
Q15 | Efforts made to ensure safe operation | |
Q16 | Information provided about the incinerator | |
(5)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 solid waste incinerator | Q17 | - |
Choice for question:
Q7: 5 point Likert scale (1=very dissatisfied, 5=very satisfied),
Q8-Q10: 5 point Likert scale (1=strongly disagree, 5=strongly agree),
Q11-Q13: 5 point Likert scale (1=no damage at all, 5=severe damage),
Q14: Yes, no,
Q15: 7 point Likert scale (1=no efforts are made, 7=great efforts are made),
Q16: 7 point Likert scale (1=not provided at all, 7=very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Q17: City Hall website, visit to the facility, local media (TV, radio), resident support committee, related briefings or meetings, social media or word of mouth, other (etc.), nothing.
각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으며,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 지자체의 폐기물 소각장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노력 정도와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 제공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함께 산출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한 지역별 유의한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χ2 test)과 Kruskal-Wallis test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카이제곱 검정과 Kruskal-Wallis test 결과를 토대로 설문 참여자의 지역(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 월별 가구 전체소득, 거주기간,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와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스피어만 상관분석에서 지역(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 변수는 A 지역=1, B 지역=2, C 지역=3으로 변환하였으며, 그 값이 클수록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멀어짐을 의미한다.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Package for Social Sciences, Version 29.0.2.0, IBM SPSS Statistics Corp.)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윤리적, 과학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연구 대상자들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부산백병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았다(기관 IRB 승인번호: BPIRB 2020-01-009-020).
연구 대상자의 사회ㆍ인구학적 특성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지역에 따른 연구 대상자의 성별과 나이, 월별 가구 전체소득, 최종학력, 거주기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성별과 나이는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998, p=0.776), 월별 가구 전체소득과 최종학력, 거주기간은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Table 2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questionnaire respondents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Sex | 0.998* | |||
Female | 299 (49.8) | 201 (50.3) | 201 (50.3) | |
Male | 301 (50.2) | 199 (49.7) | 199 (49.7) | |
Age (yr) | 0.776* | |||
20~29 | 88 (14.7) | 65 (16.2) | 60 (15.0) | |
30~39 | 96 (16.0) | 61 (15.3) | 68 (17.0) | |
40~49 | 174 (29.0) | 99 (24.7) | 102 (25.4) | |
50~59 | 117 (19.5) | 79 (19.7) | 74 (18.5) | |
60~69 | 71 (11.8) | 61 (15.3) | 63 (15.8) | |
≥70 | 54 (9.0) | 35 (8.8) | 33 (8.3) | |
Monthly income (thousand won) | <0.001* | |||
<1,000 | 33 (5.5) | 32 (8.0) | 15 (3.8) | |
1,000~2,999 | 174 (29.0) | 103 (25.8) | 82 (20.5) | |
3,000~4,999 | 307 (51.2) | 196 (48.9) | 200 (49.9) | |
≥5,000 | 86 (14.3) | 69 (17.3) | 103 (25.8) | |
Education level | <0.001* | |||
Less then high school | 70 (11.7) | 49 (12.3) | 47 (11.8) | |
High school | 221 (36.8) | 145 (36.3) | 96 (24.0) | |
College or higher | 309 (51.5) | 206 (51.4) | 257 (64.2) | |
Duration of residence (yr) | <0.001* | |||
<2 | 39 (6.5) | 35 (8.8) | 84 (21.0) | |
2~4 | 111 (18.5) | 71 (17.8) | 84 (21.0) | |
5~9 | 150 (25.0) | 107 (26.7) | 142 (35.4) | |
10~14 | 192 (32.0) | 108 (26.9) | 71 (17.8) | |
>14 | 108 (18.0) | 79 (19.8) | 19 (4.8)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f respondents (%).
*χ2 test.
연구 대상자의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A 지역이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73명(45.5%)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과 C 지역은 ‘만족’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206명(51.4%), 300명(75.0%)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만족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2.5±0.8, 3.5±0.7, 3.9±0.5로 A 지역이 가장 낮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Table 3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Very dissatisfied | 44 (7.3) | 3 (0.8) | 0 (0.0) | <0.001* |
Dissatisfied | 273 (45.5) | 30 (7.5) | 3 (0.8) | |
Neutral | 213 (35.5) | 140 (35.0) | 57 (14.2) | |
Satisfied | 67 (11.2) | 206 (51.4) | 300 (75.0) | |
Very satisfied | 3 (0.5) | 21 (5.3) | 40 (10.0) | |
Mean±SD | 2.5±0.8 | 3.5±0.7 | 3.9±0.5 | <0.001†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respondents (%).
*χ2 test.
†Kruskal-Wallis test.
연구 대상자의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요인(대기오염, 악취, 소음),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 결과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대기오염에 대한 영향은 A 지역과 B 지역은 ‘그렇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311명(51.8%), 134명(33.4%)으로 가장 많았으며, C 지역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81명(45.2%)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대기오염 영향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7±0.8, 3.0±1.1, 2.4±0.9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Table 4 Perception of environmental,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caused by the solid waste incinerator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Air pollution | <0.001* | |||
1 Strongly disagree | 0 (0.0) | 39 (9.8) | 58 (14.5) | |
2 Disagree | 44 (7.3) | 109 (27.3) | 181 (45.2) | |
3 Neutral | 171 (28.6) | 90 (22.5) | 93 (23.3) | |
4 Agree | 311 (51.8) | 134 (33.4) | 66 (16.5) | |
5 Strongly agree | 74 (12.3) | 28 (7.0) | 2 (0.5) | |
Mean±SD | 3.7±0.8 | 3.0±1.1 | 2.4±0.9 | <0.001† |
Foul odor | <0.001* | |||
1 Strongly disagree | 3 (0.5) | 106 (26.5) | 114 (28.5) | |
2 Disagree | 38 (6.3) | 62 (15.5) | 146 (36.4) | |
3 Neutral | 89 (14.8) | 89 (22.3) | 89 (22.3) | |
4 Agree | 268 (44.7) | 109 (27.2) | 47 (11.8) | |
5 Strongly agree | 202 (33.7) | 34 (8.5) | 4 (1.0) | |
Mean±SD | 4.0±0.9 | 2.8±1.3 | 2.2±1.0 | <0.001† |
Noise | <0.001* | |||
1 Strongly disagree | 4 (0.7) | 134 (33.4) | 147 (36.7) | |
2 Disagree | 141 (23.5) | 119 (29.8) | 168 (41.9) | |
3 Neutral | 338 (56.3) | 112 (28.0) | 69 (17.3) | |
4 Agree | 98 (16.3) | 29 (7.3) | 15 (3.8) | |
5 Strongly agree | 19 (3.2) | 6 (1.5) | 1 (0.3) | |
Mean±SD | 3.0±0.7 | 2.1±1.0 | 1.9±0.8 | <0.001† |
Health impact | <0.001* | |||
1 No damage at all | 20 (3.3) | 138 (34.5) | 198 (49.4) | |
2 No damage | 245 (40.9) | 170 (42.4) | 148 (37.0) | |
3 Neutral | 180 (30.0) | 54 (13.5) | 30 (7.5) | |
4 Slight damage | 129 (21.5) | 27 (6.8) | 23 (5.8) | |
5 Severe damage | 26 (4.3) | 11 (2.8) | 1 (0.3) | |
Mean±SD | 2.8±0.9 | 2.0±1.0 | 1.7±0.9 | <0.001† |
Psychological impact | <0.001* | |||
1 No damage at all | 15 (2.5) | 178 (44.4) | 227 (56.7) | |
2 No damage | 80 (13.3) | 124 (31.0) | 129 (32.2) | |
3 Neutral | 124 (20.7) | 47 (11.8) | 34 (8.5) | |
4 Slight damage | 273 (45.5) | 32 (8.0) | 9 (2.3) | |
5 Severe damage | 108 (18.0) | 19 (4.8) | 1 (0.3) | |
Mean±SD | 3.6±1.0 | 2.0±1.1 | 1.6±0.8 | <0.001† |
Economic impact | <0.001* | |||
1 No damage at all | 16 (2.7) | 179 (44.7) | 225 (56.2) | |
2 No damage | 75 (12.5) | 113 (28.2) | 110 (27.4) | |
3 Neutral | 129 (21.5) | 42 (10.5) | 51 (12.8) | |
4 Slight damage | 218 (36.3) | 37 (9.3) | 11 (2.8) | |
5 Severe damage | 162 (27.0) | 29 (7.3) | 3 (0.8) | |
Mean±SD | 3.7±1.1 | 2.1±1.3 | 1.6±0.9 | <0.001†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respondents (%).
* χ2 test.
†Kruskal-Wallis test.
악취에 대한 영향은 A 지역과 B 지역은 ‘그렇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268명(44.7%), 109명(27.2%)으로 가장 많았으며, C 지역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46명(36.4%)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악취 영향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4.0±0.9, 2.8±1.3, 2.2±1.0으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소음에 대한 영향은 A 지역은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338명(56.3%)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34명(33.4%), C 지역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68명(41.9%)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소음에 대한 영향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0±0.7, 2.1±1.0, 1.9±0.8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건강 영향은 A 지역과 B 지역은 ‘피해가 없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245명(40.9%), 170명(42.4%)으로 가장 많았으며, C 지역은 ‘전혀 피해가 없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98명(49.4%)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건강상 피해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2.8±0.9, 2.0±1.0, 1.7±0.9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정신적 영향은 A 지역이 ‘약간 피해가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73명(45.5%)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과 C 지역은‘전혀 피해가 없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178명(44.4%), 227명(56.7%)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정신적 피해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6±1.0, 2.0±1.1, 1.6±0.8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경제적 영향은 A 지역이 ‘약간 피해가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18명(36.3%)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과 C 지역은‘전혀 피해가 없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179명(44.7%), 225명(56.2%)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경제적 피해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7±1.1, 2.1±1.3, 1.6±0.9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도 결과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폐기물 소각장의 존재에 대한 인지 여부에서 폐기물 소각장의 존재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554명(92.3%), 350명(87.5%), 338명(84.5%)으로 A 지역이 가장 많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Table 5 Perceptions of solid waste incinerator operation status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Awareness that incinerator existed | 554 (92.3) | 350 (87.5) | 338 (84.5) | <0.001* |
Efforts made to ensure safe operation | <0.001* | |||
1 No efforts are made | 63 (10.5) | 26 (6.5) | 42 (10.5) | |
2 Very little effort is made | 180 (30.0) | 61 (15.2) | 34 (8.5) | |
3 Some effort is made | 96 (16.0) | 77 (19.2) | 40 (10.0) | |
4 Neutral | 191 (31.9) | 100 (25.0) | 147 (36.7) | |
5 Considerable effort is made | 53 (8.8) | 67 (16.8) | 66 (16.5) | |
6 A lot of effort is made | 14 (2.3) | 53 (13.3) | 55 (13.8) | |
7 Great efforts are made | 3 (0.5) | 16 (4.0) | 16 (4.0) | |
Mean±SD | 3.1±1.3 | 3.9±1.6 | 4.0±1.6 | <0.001† |
Information provided about the incinerator | <0.001* | |||
1 Not provided at all | 79 (13.2) | 89 (22.2) | 110 (27.5) | |
2 Very little information is provided | 211 (35.2) | 59 (14.8) | 78 (19.5) | |
3 Some information is provided | 106 (17.7) | 64 (16.0) | 40 (10.0) | |
4 Neutral | 153 (25.5) | 98 (24.5) | 88 (22.0) | |
5 Considerable information is provided | 40 (6.6) | 38 (9.5) | 40 (10.0) | |
6 A lot of information is provided | 9 (1.5) | 32 (8.0) | 28 (7.0) | |
7 Very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 2 (0.3) | 20 (5.0) | 16 (4.0) | |
Mean±SD | 2.8±1.3 | 3.3±1.8 | 3.0±1.8 | 0.004†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respondents (%).
* χ2 test.
†Kruskal-Wallis test.
지자체의 폐기물 소각장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노력 정도에 대한 인식은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 모두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각각 191명(31.9%), 100명(25.0%), 147명(36.7%)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력 정도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1±1.3, 3.9±1.6, 4.0±1.6으로 A 지역이 가장 낮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지자체의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 제공 정도는 A 지역이 ‘제공하고 있지 않음’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11명(35.2%)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은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98명(24.5%), C 지역은 ‘전혀 제공하지 않음’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10명(27.5%)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제공 정도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2.8±1.3, 3.3±1.8, 3.0±1.8로 A 지역이 가장 낮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p=0.004).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에 대한 결과를 Table 6에 나타내었다.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는 A 지역이 해당 지역의 ‘주민 지원 협의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438명(47.5%)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과 C 지역은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 또는 주변인들을 통한 구전’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200명(36.0%), 238명(43.9%)으로 가장 많았다.
Table 6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 solid waste incinerator
Parameter | Area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City Hall website | 12 (1.3) | 22 (4.0) | 23 (4.2) |
Visit to the facility | 58 (6.3) | 21 (3.8) | 29 (5.4) |
Local media (TV, radio) | 125 (13.6) | 139 (25.0) | 117 (21.6) |
Resident support committee | 438 (47.5) | 17 (3.1) | 25 (4.6) |
Related briefings or meetings | 111 (12.0) | 23 (4.1) | 11 (2.0) |
Social media or word of mouth | 155 (16.8) | 200 (36.0) | 238 (43.9) |
Other (etc.) | 2 (0.2) | 29 (5.2) | 24 (4.4) |
Nothing | 21 (2.3) | 105 (18.9) | 75 (13.8)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f respondents (%).
This question allows multiple responses and was excluded from the χ2 test.
설문 참여자 거주지의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 월별 가구 전체소득, 거주기간,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와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간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결과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on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area
Parameter | Satisfaction | Area | Monthly income | Education level | Duration of residence | Air pollution | Foul odor | Noise | Health impact | Psychological impact | Economic impact |
---|---|---|---|---|---|---|---|---|---|---|---|
Satisfaction | 1 | 0.664† | 0.044 | 0.041 | –0.134 | –0.516† | –0.625† | –0.493† | –0.517† | –0.646† | –0.605† |
Area | 1 | 0.117† | 0.082† | –0.226† | –0.488† | –0.601† | –0.498† | –0.489† | –0.668† | –0.642† | |
Monthly income | 1 | 0.404† | –0.032 | 0.106† | 0.052 | 0.012 | -0.048 | 0.037 | 0.074† | ||
Education level | 1 | –0.186† | 0.055* | 0.021 | 0.040 | 0.011 | 0.022 | 0.043 | |||
Duration of residence | 1 | 0.136† | 0.130† | 0.101† | 0.091† | 0.136† | 0.141† | ||||
Air pollution | 1 | 0.828† | 0.642† | 0.502† | 0.636† | 0.607† | |||||
Foul odor | 1 | 0.714† | 0.523† | 0.727† | 0.707† | ||||||
Noise | 1 | 0.460† | 0.562† | 0.551† | |||||||
Health impact | 1 | 0.763† | 0.704† | ||||||||
Psychological impact | 1 | 0.942† | |||||||||
Economic impact | 1 |
*p<0.01, †p<0.001.
거주지의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 월별 가구 전체소득, 최종학력은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s=0.664, rs=0.044, rs=0.041), 거주기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s=–0.134). 이들 중 거주지의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이는 폐기물 소각장에서 가까운 지역에 거주할수록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였다.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대기오염, 악취, 소음,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는 모두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s=–0.516, rs=–0.625, rs=–0.493, rs=–0.517, rs=–0.646, rs=–0.6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이는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 연구에서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폐기물 소각장에 가장 가까운 지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Lim 등(2023)24)은 폐기물 소각장 근처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Kim 등(2022)21)은 거주지역과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주민들에게 건강, 정신적 스트레스, 동네 이미지와 부동산 가치, 환경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폐기물 소각장 근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주민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로 인해 폐기물 소각장 주변 지역의 주민들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은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부정적이었다. 특히, 대기오염과 악취는 폐기물 소각장 주변 지역 주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환경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주민들이 실제로 폐기물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악취를 직접적으로 경험하면서 건강에 대한 우려와 불쾌감을 계속해서 느끼는 것으로 보이며,17,25) 이러한 경험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18) De Feo 등(2013)26)의 연구에서도 폐기물 처리 시설 인근 주민들의 악취에 대한 인식은 시설과의 거리와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한 불쾌감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도 함께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Lima (2004)19)의 연구에 따르면, 폐기물 소각장에 가까이 거주하는 주민들은 불안,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증상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경제적 영향은 폐기물 소각장과 가까운 지역의 부정적인 이미지21,27)로 인해 부동산 가치 하락과 같은 경제적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으며,28,29) 이는 주민들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은 모든 지역에서 연구 대상자의 대부분이 폐기물 소각장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폐기물 소각장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과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 제공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특히, 폐기물 소각장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의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지자체의 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모든 지역에서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지자체가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지자체가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 것이 주민들의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Rahardyan 등(2004)30)의 연구에 따르면, 폐기물 처리 시설의 운영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주민일수록 폐기물 처리 시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Zhang과 Liabsuetrakul (2023)31)은 지자체와 폐기물 처리 시설 관리자의 투명한 운영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민들의 폐기물 처리 시설에 대한 위험 인식과 사회적 신뢰를 높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는 폐기물 소각장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이 해당 지역의 ‘주민 지원 협의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반면, 나머지 두 지역에서는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 또는 주변인들을 통한 구전’을 통해 정보를 습득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는 폐기물신설촉진법에 따라 폐기물 소각장 주변 영향 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에서는 주민 지원 협의체가 구성되어 주민들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폐기물 소각장 관련 정보 및 지자체 혜택에 대한 접근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외의 지역은 이러한 지원 체계에서 제외되고,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가 비교적 비공식적인 방식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32) 또한, 습득 경로 중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획득은 모든 지역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앞서 언급한 지자체의 폐기물 소각장 운영 노력 부족과 운영 현황 정보의 공개 수준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일치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상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준다.33) 지자체 홈페이지를 활용한 정보 제공 방식이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원인은 정보의 접근성이 부족하거나 전달 내용의 신뢰성 부족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생각된다.34)
정부와 지자체는 2014년부터 폐기물 소각장과 하수처리장, 발전소와 같은 기피 시설을 활용한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23) 예를 들어, 경기도 구리시는 자원회수시설의 소각장 굴뚝을 전망대와 레스토랑으로 활용하였으며, 소각열을 수영장 등의 주민 편익 시설에 사용하였다.35) 그리고 광주광역시는 태양광 발전소 주변에 야생화 단지를 조성하고, 발전소 운영 수익금을 주변 마을에 투자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36) 그러나 정부와 지자체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은 기피 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건강에 대한 우려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37) 이는 주민들과 지자체 간의 위해성 소통 부재로 인해, 주민들이 기피 시설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얻지 못한 데에서 기인할 수 있다.38) 또한, 환경정의 관점에서 기피 시설 운영에 따른 주민들의 참여 기회가 보장되지 않거나,39) 기피 시설로 인한 환경과 건강 피해에 대한 지자체의 불공정한 대응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40,41)
따라서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는 폐기물 소각장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주민들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42) 그리고 지자체는 주민들에게 실질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통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43,44)
향후 연구에서는 폐기물 소각장 주변 지역의 대기오염 농도, 악취 등 폐기물 소각장에서 배출하는 유해 물질들을 직접 조사하여 주민들의 인식과 실제 환경 영향 간의 관계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각장의 규모, 폐기물의 처리, 운영 방식 등 폐기물 소각장 운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며, 폐기물 소각장 운영의 개선이 주민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폐기물 소각장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주민들의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졌으며, 폐기물 소각장과 가장 인접한 지역에서는 대기오염과 악취에 대한 민감도가 높았다. 또한, 폐기물 소각장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정보 제공과 지자체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이는 지자체와 주민들 간에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불신을 증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지자체는 폐기물 소각장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주민들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소통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을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폐기물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유해 물질을 직접 조사하고, 주민들의 인식과 실제 환경 영향 간의 관계를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폐기물 소각장 운영 개선이 주민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박동윤(연구교수), 이채관(교수)
J Environ Health Sci. 2024; 50(6): 407-417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5668/JEHS.2024.50.6.407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Dong Yun Park1 , Chae Kwan Lee1,2*
1Institute of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Medical School, Inje University,
2Department of Occupation and Environmental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rrespondence to:*Institute of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Medical School,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najin-gu, Busan 47392, Republic of Korea
Tel: +82-51-890-5931
Fax: +82-51-895-7040
E-mail: lck3303@daum.net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ackground: Solid waste incinerators (SWI) impact surrounding residents’ health, mental well-being, property values, and community image. Despite efforts by authorities to address conflicts, negative perceptions of SWI persis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erceptions of SWI operation among residents at varying distances, providing data to improve public perceptions in the area.
Methods: The study focused on an region around a SWI divided into three areas based on distance in one direction: Area A (<0.5 km), Area B (0.5~3.0 km), and Area C (3.0~6.0 km). A survey of 1,400 residents (A=600, B=400, C=400) included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satisfaction,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al,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of the SWI, its operation, and information sources. Responses to each survey item were categorized by area and the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Chi-square test, Kruskal-Wallis test, an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mpa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urvey results (SPSS 29.0.2.0).
Results: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lower in the area closer to the SWI. Residents of this area were more sensitive to air pollution and odors, perceiving the SWI as a source of psychological stress and economic hardship. Residents felt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and insufficient efforts by local authorities increased distrust. A “Resident Support Committee” provided information to residents in the nearby area, while other residents relied on informal sources. Use of the city hall website was low in all area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ssue of residents’ percep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of SWI needs to be addressed. Therefore, local authorities have to enhance transparency, regularly disclose updates on SWI operations, and establish communication systems to rebuild trust with residents. Efforts are also needed to more actively incorporate residents’ opinions and engage in various initiatives.
Keywords: Incinerator, perception, residents, distance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산업 폐기물과 도시 생활폐기물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현대 사회에서 환경과 사회 그리고 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은 소각, 매립, 재활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해 왔다.1) 그러나 우리나라는 매립을 통한 폐기물 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2,3) 2026년부터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된다.4) 이에 따라 지자체에서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소각과 재활용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5)
폐기물 소각은 소각 전과 후 폐기물의 부피 감소율이 높아 매립에 비해 많은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소각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전기와 난방에너지로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6) 그러나 폐기물 소각은 미세먼지, 중금속, 다이옥신(Dioxin),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olybrominated dipheyl ethers, PBDEs),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등 다양한 오염물질을 환경으로 배출할 수 있다.7,8) 그리고 환경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은 인간에게 노출되어,9-11) 생식기계 이상, 내분비계 장애,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하거나 발암 위험을 증가시키는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14)
우리나라에서 폐기물 소각장, 매립지와 같은 기피 시설과 발전소, 변전소, 수용시설 등의 비선호 시설의 입지와 운영에 따른 지자체와 주민 간의 갈등은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되었다.15) 이러한 갈등은 님비현상(Not In My Backyard Syndrome, NIMBY Syndrome)으로 알려져 있다.16) 특히, 폐기물 소각장은 님비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기피 시설 중 하나로 해당 시설이 위치한 주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환경과 건강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된다.17,18) 그리고 최근에는 주민들의 정신적 건강19)과 집값, 땅값 등의 경제적 문제,20) 해당 지역의 이미지에도 영향21)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주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폐기물신설촉진법(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설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지원과 보상 제도를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22) 그리고 2014년부터 폐기물 소각장과 같은 기피 시설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ㆍ판매하고, 문화와 관광 등의 자원으로 활용하는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23) 이를 통해 지역 사회의 님비현상을 극복하고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기피 시설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시설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여전히 남아 있다.15,21)
이 연구는 폐기물 소각장을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각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지역의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지역 주민들의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지역은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민과 지자체 간 협의를 통해 법정동을 기준으로 주요 도로와 지정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3개 지역(A, B, C)으로 구분하였다(Fig. 1). A 지역은 폐기물 소각장으로부터 0.5 km 이내 지역이며, B 지역과 C 지역은 각각 약 0.5~3.0 km, 3.0~6.0 km 떨어진 지역이다. A 지역은 폐기물신설촉진법(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자체에서 지정한 폐기물 소각장 주변영향지역이며, B와 C 지역은 A 지역과 거주환경이 비슷한 일반도시지역이었다. 폐기물 소각장은 하루 약 150톤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며, 2001년부터 가동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설문조사는 설문 내용과 방법에 대해 사전에 교육받은 조사원과 참여자의 1대1 면접 방식(Interview survey)으로 수행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20년 6월부터 7월까지였다. 연구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주민은 약 116,000명이었으며, 설문 대상자는 폐기물 소각장 주변 거주민들과 지자체의 협의에 따라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총 1,400명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지역별 설문 대상자는 가장 인접한 A 지역이 600명, 그리고 거리에 따라 B 지역과 C 지역은 각각 400명이었으며, 성별과 나이에 따른 대상자는 인구비례를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1)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2)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3)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 (4)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도, (5)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등이었다(Table 1).
Table 1 . Structure of questionnaire.
Category | Question no. | Items |
---|---|---|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Q1-6 | Area (distance from SWI), sex, age, monthly income (thousand won), education level, duration of residence (yr) |
(2)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 Q7 | - |
(3) Perception of environmental,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caused by the solid waste incinerator | Q8-10 | Environmental (air pollution, foul odor, noise) impact |
Q11-13 |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 |
(4) Perceptions of solid waste incinerator operation status | Q14 | Awareness that incinerator existed |
Q15 | Efforts made to ensure safe operation | |
Q16 | Information provided about the incinerator | |
(5)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 solid waste incinerator | Q17 | - |
Choice for question:.
Q7: 5 point Likert scale (1=very dissatisfied, 5=very satisfied),.
Q8-Q10: 5 point Likert scale (1=strongly disagree, 5=strongly agree),.
Q11-Q13: 5 point Likert scale (1=no damage at all, 5=severe damage),.
Q14: Yes, no,.
Q15: 7 point Likert scale (1=no efforts are made, 7=great efforts are made),.
Q16: 7 point Likert scale (1=not provided at all, 7=very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Q17: City Hall website, visit to the facility, local media (TV, radio), resident support committee, related briefings or meetings, social media or word of mouth, other (etc.), nothing..
각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으며,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 지자체의 폐기물 소각장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노력 정도와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 제공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함께 산출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한 지역별 유의한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χ2 test)과 Kruskal-Wallis test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카이제곱 검정과 Kruskal-Wallis test 결과를 토대로 설문 참여자의 지역(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 월별 가구 전체소득, 거주기간,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와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스피어만 상관분석에서 지역(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 변수는 A 지역=1, B 지역=2, C 지역=3으로 변환하였으며, 그 값이 클수록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멀어짐을 의미한다.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Package for Social Sciences, Version 29.0.2.0, IBM SPSS Statistics Corp.)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윤리적, 과학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연구 대상자들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부산백병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았다(기관 IRB 승인번호: BPIRB 2020-01-009-020).
연구 대상자의 사회ㆍ인구학적 특성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지역에 따른 연구 대상자의 성별과 나이, 월별 가구 전체소득, 최종학력, 거주기간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성별과 나이는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998, p=0.776), 월별 가구 전체소득과 최종학력, 거주기간은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Table 2 .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questionnaire respondents.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Sex | 0.998* | |||
Female | 299 (49.8) | 201 (50.3) | 201 (50.3) | |
Male | 301 (50.2) | 199 (49.7) | 199 (49.7) | |
Age (yr) | 0.776* | |||
20~29 | 88 (14.7) | 65 (16.2) | 60 (15.0) | |
30~39 | 96 (16.0) | 61 (15.3) | 68 (17.0) | |
40~49 | 174 (29.0) | 99 (24.7) | 102 (25.4) | |
50~59 | 117 (19.5) | 79 (19.7) | 74 (18.5) | |
60~69 | 71 (11.8) | 61 (15.3) | 63 (15.8) | |
≥70 | 54 (9.0) | 35 (8.8) | 33 (8.3) | |
Monthly income (thousand won) | <0.001* | |||
<1,000 | 33 (5.5) | 32 (8.0) | 15 (3.8) | |
1,000~2,999 | 174 (29.0) | 103 (25.8) | 82 (20.5) | |
3,000~4,999 | 307 (51.2) | 196 (48.9) | 200 (49.9) | |
≥5,000 | 86 (14.3) | 69 (17.3) | 103 (25.8) | |
Education level | <0.001* | |||
Less then high school | 70 (11.7) | 49 (12.3) | 47 (11.8) | |
High school | 221 (36.8) | 145 (36.3) | 96 (24.0) | |
College or higher | 309 (51.5) | 206 (51.4) | 257 (64.2) | |
Duration of residence (yr) | <0.001* | |||
<2 | 39 (6.5) | 35 (8.8) | 84 (21.0) | |
2~4 | 111 (18.5) | 71 (17.8) | 84 (21.0) | |
5~9 | 150 (25.0) | 107 (26.7) | 142 (35.4) | |
10~14 | 192 (32.0) | 108 (26.9) | 71 (17.8) | |
>14 | 108 (18.0) | 79 (19.8) | 19 (4.8)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f respondents (%)..
*χ2 test..
연구 대상자의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A 지역이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73명(45.5%)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과 C 지역은 ‘만족’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206명(51.4%), 300명(75.0%)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만족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2.5±0.8, 3.5±0.7, 3.9±0.5로 A 지역이 가장 낮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Table 3 .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Very dissatisfied | 44 (7.3) | 3 (0.8) | 0 (0.0) | <0.001* |
Dissatisfied | 273 (45.5) | 30 (7.5) | 3 (0.8) | |
Neutral | 213 (35.5) | 140 (35.0) | 57 (14.2) | |
Satisfied | 67 (11.2) | 206 (51.4) | 300 (75.0) | |
Very satisfied | 3 (0.5) | 21 (5.3) | 40 (10.0) | |
Mean±SD | 2.5±0.8 | 3.5±0.7 | 3.9±0.5 | <0.001†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respondents (%)..
*χ2 test..
†Kruskal-Wallis test..
연구 대상자의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요인(대기오염, 악취, 소음),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 결과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대기오염에 대한 영향은 A 지역과 B 지역은 ‘그렇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311명(51.8%), 134명(33.4%)으로 가장 많았으며, C 지역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81명(45.2%)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대기오염 영향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7±0.8, 3.0±1.1, 2.4±0.9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Table 4 . Perception of environmental,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caused by the solid waste incinerator.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Air pollution | <0.001* | |||
1 Strongly disagree | 0 (0.0) | 39 (9.8) | 58 (14.5) | |
2 Disagree | 44 (7.3) | 109 (27.3) | 181 (45.2) | |
3 Neutral | 171 (28.6) | 90 (22.5) | 93 (23.3) | |
4 Agree | 311 (51.8) | 134 (33.4) | 66 (16.5) | |
5 Strongly agree | 74 (12.3) | 28 (7.0) | 2 (0.5) | |
Mean±SD | 3.7±0.8 | 3.0±1.1 | 2.4±0.9 | <0.001† |
Foul odor | <0.001* | |||
1 Strongly disagree | 3 (0.5) | 106 (26.5) | 114 (28.5) | |
2 Disagree | 38 (6.3) | 62 (15.5) | 146 (36.4) | |
3 Neutral | 89 (14.8) | 89 (22.3) | 89 (22.3) | |
4 Agree | 268 (44.7) | 109 (27.2) | 47 (11.8) | |
5 Strongly agree | 202 (33.7) | 34 (8.5) | 4 (1.0) | |
Mean±SD | 4.0±0.9 | 2.8±1.3 | 2.2±1.0 | <0.001† |
Noise | <0.001* | |||
1 Strongly disagree | 4 (0.7) | 134 (33.4) | 147 (36.7) | |
2 Disagree | 141 (23.5) | 119 (29.8) | 168 (41.9) | |
3 Neutral | 338 (56.3) | 112 (28.0) | 69 (17.3) | |
4 Agree | 98 (16.3) | 29 (7.3) | 15 (3.8) | |
5 Strongly agree | 19 (3.2) | 6 (1.5) | 1 (0.3) | |
Mean±SD | 3.0±0.7 | 2.1±1.0 | 1.9±0.8 | <0.001† |
Health impact | <0.001* | |||
1 No damage at all | 20 (3.3) | 138 (34.5) | 198 (49.4) | |
2 No damage | 245 (40.9) | 170 (42.4) | 148 (37.0) | |
3 Neutral | 180 (30.0) | 54 (13.5) | 30 (7.5) | |
4 Slight damage | 129 (21.5) | 27 (6.8) | 23 (5.8) | |
5 Severe damage | 26 (4.3) | 11 (2.8) | 1 (0.3) | |
Mean±SD | 2.8±0.9 | 2.0±1.0 | 1.7±0.9 | <0.001† |
Psychological impact | <0.001* | |||
1 No damage at all | 15 (2.5) | 178 (44.4) | 227 (56.7) | |
2 No damage | 80 (13.3) | 124 (31.0) | 129 (32.2) | |
3 Neutral | 124 (20.7) | 47 (11.8) | 34 (8.5) | |
4 Slight damage | 273 (45.5) | 32 (8.0) | 9 (2.3) | |
5 Severe damage | 108 (18.0) | 19 (4.8) | 1 (0.3) | |
Mean±SD | 3.6±1.0 | 2.0±1.1 | 1.6±0.8 | <0.001† |
Economic impact | <0.001* | |||
1 No damage at all | 16 (2.7) | 179 (44.7) | 225 (56.2) | |
2 No damage | 75 (12.5) | 113 (28.2) | 110 (27.4) | |
3 Neutral | 129 (21.5) | 42 (10.5) | 51 (12.8) | |
4 Slight damage | 218 (36.3) | 37 (9.3) | 11 (2.8) | |
5 Severe damage | 162 (27.0) | 29 (7.3) | 3 (0.8) | |
Mean±SD | 3.7±1.1 | 2.1±1.3 | 1.6±0.9 | <0.001†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respondents (%)..
* χ2 test..
†Kruskal-Wallis test..
악취에 대한 영향은 A 지역과 B 지역은 ‘그렇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268명(44.7%), 109명(27.2%)으로 가장 많았으며, C 지역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46명(36.4%)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악취 영향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4.0±0.9, 2.8±1.3, 2.2±1.0으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소음에 대한 영향은 A 지역은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338명(56.3%)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34명(33.4%), C 지역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68명(41.9%)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소음에 대한 영향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0±0.7, 2.1±1.0, 1.9±0.8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건강 영향은 A 지역과 B 지역은 ‘피해가 없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245명(40.9%), 170명(42.4%)으로 가장 많았으며, C 지역은 ‘전혀 피해가 없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98명(49.4%)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건강상 피해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2.8±0.9, 2.0±1.0, 1.7±0.9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정신적 영향은 A 지역이 ‘약간 피해가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73명(45.5%)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과 C 지역은‘전혀 피해가 없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178명(44.4%), 227명(56.7%)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정신적 피해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6±1.0, 2.0±1.1, 1.6±0.8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경제적 영향은 A 지역이 ‘약간 피해가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18명(36.3%)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과 C 지역은‘전혀 피해가 없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179명(44.7%), 225명(56.2%)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경제적 피해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7±1.1, 2.1±1.3, 1.6±0.9로 A 지역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도 결과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폐기물 소각장의 존재에 대한 인지 여부에서 폐기물 소각장의 존재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554명(92.3%), 350명(87.5%), 338명(84.5%)으로 A 지역이 가장 많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Table 5 . Perceptions of solid waste incinerator operation status.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Awareness that incinerator existed | 554 (92.3) | 350 (87.5) | 338 (84.5) | <0.001* |
Efforts made to ensure safe operation | <0.001* | |||
1 No efforts are made | 63 (10.5) | 26 (6.5) | 42 (10.5) | |
2 Very little effort is made | 180 (30.0) | 61 (15.2) | 34 (8.5) | |
3 Some effort is made | 96 (16.0) | 77 (19.2) | 40 (10.0) | |
4 Neutral | 191 (31.9) | 100 (25.0) | 147 (36.7) | |
5 Considerable effort is made | 53 (8.8) | 67 (16.8) | 66 (16.5) | |
6 A lot of effort is made | 14 (2.3) | 53 (13.3) | 55 (13.8) | |
7 Great efforts are made | 3 (0.5) | 16 (4.0) | 16 (4.0) | |
Mean±SD | 3.1±1.3 | 3.9±1.6 | 4.0±1.6 | <0.001† |
Information provided about the incinerator | <0.001* | |||
1 Not provided at all | 79 (13.2) | 89 (22.2) | 110 (27.5) | |
2 Very little information is provided | 211 (35.2) | 59 (14.8) | 78 (19.5) | |
3 Some information is provided | 106 (17.7) | 64 (16.0) | 40 (10.0) | |
4 Neutral | 153 (25.5) | 98 (24.5) | 88 (22.0) | |
5 Considerable information is provided | 40 (6.6) | 38 (9.5) | 40 (10.0) | |
6 A lot of information is provided | 9 (1.5) | 32 (8.0) | 28 (7.0) | |
7 Very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 2 (0.3) | 20 (5.0) | 16 (4.0) | |
Mean±SD | 2.8±1.3 | 3.3±1.8 | 3.0±1.8 | 0.004†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respondents (%)..
* χ2 test..
†Kruskal-Wallis test..
지자체의 폐기물 소각장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노력 정도에 대한 인식은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 모두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각각 191명(31.9%), 100명(25.0%), 147명(36.7%)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력 정도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3.1±1.3, 3.9±1.6, 4.0±1.6으로 A 지역이 가장 낮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지자체의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 제공 정도는 A 지역이 ‘제공하고 있지 않음’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211명(35.2%)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은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98명(24.5%), C 지역은 ‘전혀 제공하지 않음’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10명(27.5%)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제공 정도에 대한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A 지역과 B 지역, C 지역이 각각 2.8±1.3, 3.3±1.8, 3.0±1.8로 A 지역이 가장 낮았고,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p=0.004).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에 대한 결과를 Table 6에 나타내었다.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는 A 지역이 해당 지역의 ‘주민 지원 협의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438명(47.5%)으로 가장 많았으며, B 지역과 C 지역은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 또는 주변인들을 통한 구전’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각각 200명(36.0%), 238명(43.9%)으로 가장 많았다.
Table 6 .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 solid waste incinerator.
Parameter | Area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City Hall website | 12 (1.3) | 22 (4.0) | 23 (4.2) |
Visit to the facility | 58 (6.3) | 21 (3.8) | 29 (5.4) |
Local media (TV, radio) | 125 (13.6) | 139 (25.0) | 117 (21.6) |
Resident support committee | 438 (47.5) | 17 (3.1) | 25 (4.6) |
Related briefings or meetings | 111 (12.0) | 23 (4.1) | 11 (2.0) |
Social media or word of mouth | 155 (16.8) | 200 (36.0) | 238 (43.9) |
Other (etc.) | 2 (0.2) | 29 (5.2) | 24 (4.4) |
Nothing | 21 (2.3) | 105 (18.9) | 75 (13.8)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f respondents (%)..
This question allows multiple responses and was excluded from the χ2 test..
설문 참여자 거주지의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 월별 가구 전체소득, 거주기간,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와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간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결과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Table 7 .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on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area.
Parameter | Satisfaction | Area | Monthly income | Education level | Duration of residence | Air pollution | Foul odor | Noise | Health impact | Psychological impact | Economic impact |
---|---|---|---|---|---|---|---|---|---|---|---|
Satisfaction | 1 | 0.664† | 0.044 | 0.041 | –0.134 | –0.516† | –0.625† | –0.493† | –0.517† | –0.646† | –0.605† |
Area | 1 | 0.117† | 0.082† | –0.226† | –0.488† | –0.601† | –0.498† | –0.489† | –0.668† | –0.642† | |
Monthly income | 1 | 0.404† | –0.032 | 0.106† | 0.052 | 0.012 | -0.048 | 0.037 | 0.074† | ||
Education level | 1 | –0.186† | 0.055* | 0.021 | 0.040 | 0.011 | 0.022 | 0.043 | |||
Duration of residence | 1 | 0.136† | 0.130† | 0.101† | 0.091† | 0.136† | 0.141† | ||||
Air pollution | 1 | 0.828† | 0.642† | 0.502† | 0.636† | 0.607† | |||||
Foul odor | 1 | 0.714† | 0.523† | 0.727† | 0.707† | ||||||
Noise | 1 | 0.460† | 0.562† | 0.551† | |||||||
Health impact | 1 | 0.763† | 0.704† | ||||||||
Psychological impact | 1 | 0.942† | |||||||||
Economic impact | 1 |
*p<0.01, †p<0.001..
거주지의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 월별 가구 전체소득, 최종학력은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s=0.664, rs=0.044, rs=0.041), 거주기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s=–0.134). 이들 중 거주지의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이는 폐기물 소각장에서 가까운 지역에 거주할수록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였다.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대기오염, 악취, 소음,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인식도는 모두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s=–0.516, rs=–0.625, rs=–0.493, rs=–0.517, rs=–0.646, rs=–0.6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이는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 연구에서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폐기물 소각장에 가장 가까운 지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Lim 등(2023)24)은 폐기물 소각장 근처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Kim 등(2022)21)은 거주지역과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주민들에게 건강, 정신적 스트레스, 동네 이미지와 부동산 가치, 환경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폐기물 소각장 근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주민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로 인해 폐기물 소각장 주변 지역의 주민들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폐기물 소각장으로 인한 환경, 건강, 정신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은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부정적이었다. 특히, 대기오염과 악취는 폐기물 소각장 주변 지역 주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환경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주민들이 실제로 폐기물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악취를 직접적으로 경험하면서 건강에 대한 우려와 불쾌감을 계속해서 느끼는 것으로 보이며,17,25) 이러한 경험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18) De Feo 등(2013)26)의 연구에서도 폐기물 처리 시설 인근 주민들의 악취에 대한 인식은 시설과의 거리와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한 불쾌감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도 함께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Lima (2004)19)의 연구에 따르면, 폐기물 소각장에 가까이 거주하는 주민들은 불안,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증상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경제적 영향은 폐기물 소각장과 가까운 지역의 부정적인 이미지21,27)로 인해 부동산 가치 하락과 같은 경제적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으며,28,29) 이는 주민들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은 모든 지역에서 연구 대상자의 대부분이 폐기물 소각장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폐기물 소각장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과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 제공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특히, 폐기물 소각장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의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지자체의 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모든 지역에서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지자체가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지자체가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 것이 주민들의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Rahardyan 등(2004)30)의 연구에 따르면, 폐기물 처리 시설의 운영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주민일수록 폐기물 처리 시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Zhang과 Liabsuetrakul (2023)31)은 지자체와 폐기물 처리 시설 관리자의 투명한 운영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민들의 폐기물 처리 시설에 대한 위험 인식과 사회적 신뢰를 높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는 폐기물 소각장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이 해당 지역의 ‘주민 지원 협의체’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반면, 나머지 두 지역에서는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 또는 주변인들을 통한 구전’을 통해 정보를 습득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는 폐기물신설촉진법에 따라 폐기물 소각장 주변 영향 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에서는 주민 지원 협의체가 구성되어 주민들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폐기물 소각장 관련 정보 및 지자체 혜택에 대한 접근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외의 지역은 이러한 지원 체계에서 제외되고, 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가 비교적 비공식적인 방식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32) 또한, 습득 경로 중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획득은 모든 지역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앞서 언급한 지자체의 폐기물 소각장 운영 노력 부족과 운영 현황 정보의 공개 수준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일치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상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준다.33) 지자체 홈페이지를 활용한 정보 제공 방식이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원인은 정보의 접근성이 부족하거나 전달 내용의 신뢰성 부족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생각된다.34)
정부와 지자체는 2014년부터 폐기물 소각장과 하수처리장, 발전소와 같은 기피 시설을 활용한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23) 예를 들어, 경기도 구리시는 자원회수시설의 소각장 굴뚝을 전망대와 레스토랑으로 활용하였으며, 소각열을 수영장 등의 주민 편익 시설에 사용하였다.35) 그리고 광주광역시는 태양광 발전소 주변에 야생화 단지를 조성하고, 발전소 운영 수익금을 주변 마을에 투자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36) 그러나 정부와 지자체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은 기피 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건강에 대한 우려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37) 이는 주민들과 지자체 간의 위해성 소통 부재로 인해, 주민들이 기피 시설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얻지 못한 데에서 기인할 수 있다.38) 또한, 환경정의 관점에서 기피 시설 운영에 따른 주민들의 참여 기회가 보장되지 않거나,39) 기피 시설로 인한 환경과 건강 피해에 대한 지자체의 불공정한 대응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40,41)
따라서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는 폐기물 소각장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주민들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42) 그리고 지자체는 주민들에게 실질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통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43,44)
향후 연구에서는 폐기물 소각장 주변 지역의 대기오염 농도, 악취 등 폐기물 소각장에서 배출하는 유해 물질들을 직접 조사하여 주민들의 인식과 실제 환경 영향 간의 관계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각장의 규모, 폐기물의 처리, 운영 방식 등 폐기물 소각장 운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며, 폐기물 소각장 운영의 개선이 주민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폐기물 소각장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폐기물 소각장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주민들의 거주지역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졌으며, 폐기물 소각장과 가장 인접한 지역에서는 대기오염과 악취에 대한 민감도가 높았다. 또한, 폐기물 소각장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정보 제공과 지자체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이는 지자체와 주민들 간에 폐기물 소각장 운영에 대한 불신을 증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지자체는 폐기물 소각장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주민들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소통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폐기물 소각장 운영 현황을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폐기물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유해 물질을 직접 조사하고, 주민들의 인식과 실제 환경 영향 간의 관계를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폐기물 소각장 운영 개선이 주민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박동윤(연구교수), 이채관(교수)
Table 1 Structure of questionnaire
Category | Question no. | Items |
---|---|---|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Q1-6 | Area (distance from SWI), sex, age, monthly income (thousand won), education level, duration of residence (yr) |
(2)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 Q7 | - |
(3) Perception of environmental,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caused by the solid waste incinerator | Q8-10 | Environmental (air pollution, foul odor, noise) impact |
Q11-13 |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 |
(4) Perceptions of solid waste incinerator operation status | Q14 | Awareness that incinerator existed |
Q15 | Efforts made to ensure safe operation | |
Q16 | Information provided about the incinerator | |
(5)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 solid waste incinerator | Q17 | - |
Choice for question:
Q7: 5 point Likert scale (1=very dissatisfied, 5=very satisfied),
Q8-Q10: 5 point Likert scale (1=strongly disagree, 5=strongly agree),
Q11-Q13: 5 point Likert scale (1=no damage at all, 5=severe damage),
Q14: Yes, no,
Q15: 7 point Likert scale (1=no efforts are made, 7=great efforts are made),
Q16: 7 point Likert scale (1=not provided at all, 7=very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Q17: City Hall website, visit to the facility, local media (TV, radio), resident support committee, related briefings or meetings, social media or word of mouth, other (etc.), nothing.
Table 2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questionnaire respondents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Sex | 0.998* | |||
Female | 299 (49.8) | 201 (50.3) | 201 (50.3) | |
Male | 301 (50.2) | 199 (49.7) | 199 (49.7) | |
Age (yr) | 0.776* | |||
20~29 | 88 (14.7) | 65 (16.2) | 60 (15.0) | |
30~39 | 96 (16.0) | 61 (15.3) | 68 (17.0) | |
40~49 | 174 (29.0) | 99 (24.7) | 102 (25.4) | |
50~59 | 117 (19.5) | 79 (19.7) | 74 (18.5) | |
60~69 | 71 (11.8) | 61 (15.3) | 63 (15.8) | |
≥70 | 54 (9.0) | 35 (8.8) | 33 (8.3) | |
Monthly income (thousand won) | <0.001* | |||
<1,000 | 33 (5.5) | 32 (8.0) | 15 (3.8) | |
1,000~2,999 | 174 (29.0) | 103 (25.8) | 82 (20.5) | |
3,000~4,999 | 307 (51.2) | 196 (48.9) | 200 (49.9) | |
≥5,000 | 86 (14.3) | 69 (17.3) | 103 (25.8) | |
Education level | <0.001* | |||
Less then high school | 70 (11.7) | 49 (12.3) | 47 (11.8) | |
High school | 221 (36.8) | 145 (36.3) | 96 (24.0) | |
College or higher | 309 (51.5) | 206 (51.4) | 257 (64.2) | |
Duration of residence (yr) | <0.001* | |||
<2 | 39 (6.5) | 35 (8.8) | 84 (21.0) | |
2~4 | 111 (18.5) | 71 (17.8) | 84 (21.0) | |
5~9 | 150 (25.0) | 107 (26.7) | 142 (35.4) | |
10~14 | 192 (32.0) | 108 (26.9) | 71 (17.8) | |
>14 | 108 (18.0) | 79 (19.8) | 19 (4.8)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f respondents (%).
*χ2 test.
Table 3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Very dissatisfied | 44 (7.3) | 3 (0.8) | 0 (0.0) | <0.001* |
Dissatisfied | 273 (45.5) | 30 (7.5) | 3 (0.8) | |
Neutral | 213 (35.5) | 140 (35.0) | 57 (14.2) | |
Satisfied | 67 (11.2) | 206 (51.4) | 300 (75.0) | |
Very satisfied | 3 (0.5) | 21 (5.3) | 40 (10.0) | |
Mean±SD | 2.5±0.8 | 3.5±0.7 | 3.9±0.5 | <0.001†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respondents (%).
*χ2 test.
†Kruskal-Wallis test.
Table 4 Perception of environmental, health, psychological, economic impact caused by the solid waste incinerator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Air pollution | <0.001* | |||
1 Strongly disagree | 0 (0.0) | 39 (9.8) | 58 (14.5) | |
2 Disagree | 44 (7.3) | 109 (27.3) | 181 (45.2) | |
3 Neutral | 171 (28.6) | 90 (22.5) | 93 (23.3) | |
4 Agree | 311 (51.8) | 134 (33.4) | 66 (16.5) | |
5 Strongly agree | 74 (12.3) | 28 (7.0) | 2 (0.5) | |
Mean±SD | 3.7±0.8 | 3.0±1.1 | 2.4±0.9 | <0.001† |
Foul odor | <0.001* | |||
1 Strongly disagree | 3 (0.5) | 106 (26.5) | 114 (28.5) | |
2 Disagree | 38 (6.3) | 62 (15.5) | 146 (36.4) | |
3 Neutral | 89 (14.8) | 89 (22.3) | 89 (22.3) | |
4 Agree | 268 (44.7) | 109 (27.2) | 47 (11.8) | |
5 Strongly agree | 202 (33.7) | 34 (8.5) | 4 (1.0) | |
Mean±SD | 4.0±0.9 | 2.8±1.3 | 2.2±1.0 | <0.001† |
Noise | <0.001* | |||
1 Strongly disagree | 4 (0.7) | 134 (33.4) | 147 (36.7) | |
2 Disagree | 141 (23.5) | 119 (29.8) | 168 (41.9) | |
3 Neutral | 338 (56.3) | 112 (28.0) | 69 (17.3) | |
4 Agree | 98 (16.3) | 29 (7.3) | 15 (3.8) | |
5 Strongly agree | 19 (3.2) | 6 (1.5) | 1 (0.3) | |
Mean±SD | 3.0±0.7 | 2.1±1.0 | 1.9±0.8 | <0.001† |
Health impact | <0.001* | |||
1 No damage at all | 20 (3.3) | 138 (34.5) | 198 (49.4) | |
2 No damage | 245 (40.9) | 170 (42.4) | 148 (37.0) | |
3 Neutral | 180 (30.0) | 54 (13.5) | 30 (7.5) | |
4 Slight damage | 129 (21.5) | 27 (6.8) | 23 (5.8) | |
5 Severe damage | 26 (4.3) | 11 (2.8) | 1 (0.3) | |
Mean±SD | 2.8±0.9 | 2.0±1.0 | 1.7±0.9 | <0.001† |
Psychological impact | <0.001* | |||
1 No damage at all | 15 (2.5) | 178 (44.4) | 227 (56.7) | |
2 No damage | 80 (13.3) | 124 (31.0) | 129 (32.2) | |
3 Neutral | 124 (20.7) | 47 (11.8) | 34 (8.5) | |
4 Slight damage | 273 (45.5) | 32 (8.0) | 9 (2.3) | |
5 Severe damage | 108 (18.0) | 19 (4.8) | 1 (0.3) | |
Mean±SD | 3.6±1.0 | 2.0±1.1 | 1.6±0.8 | <0.001† |
Economic impact | <0.001* | |||
1 No damage at all | 16 (2.7) | 179 (44.7) | 225 (56.2) | |
2 No damage | 75 (12.5) | 113 (28.2) | 110 (27.4) | |
3 Neutral | 129 (21.5) | 42 (10.5) | 51 (12.8) | |
4 Slight damage | 218 (36.3) | 37 (9.3) | 11 (2.8) | |
5 Severe damage | 162 (27.0) | 29 (7.3) | 3 (0.8) | |
Mean±SD | 3.7±1.1 | 2.1±1.3 | 1.6±0.9 | <0.001†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respondents (%).
* χ2 test.
†Kruskal-Wallis test.
Table 5 Perceptions of solid waste incinerator operation status
Parameter | Area | p-value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Awareness that incinerator existed | 554 (92.3) | 350 (87.5) | 338 (84.5) | <0.001* |
Efforts made to ensure safe operation | <0.001* | |||
1 No efforts are made | 63 (10.5) | 26 (6.5) | 42 (10.5) | |
2 Very little effort is made | 180 (30.0) | 61 (15.2) | 34 (8.5) | |
3 Some effort is made | 96 (16.0) | 77 (19.2) | 40 (10.0) | |
4 Neutral | 191 (31.9) | 100 (25.0) | 147 (36.7) | |
5 Considerable effort is made | 53 (8.8) | 67 (16.8) | 66 (16.5) | |
6 A lot of effort is made | 14 (2.3) | 53 (13.3) | 55 (13.8) | |
7 Great efforts are made | 3 (0.5) | 16 (4.0) | 16 (4.0) | |
Mean±SD | 3.1±1.3 | 3.9±1.6 | 4.0±1.6 | <0.001† |
Information provided about the incinerator | <0.001* | |||
1 Not provided at all | 79 (13.2) | 89 (22.2) | 110 (27.5) | |
2 Very little information is provided | 211 (35.2) | 59 (14.8) | 78 (19.5) | |
3 Some information is provided | 106 (17.7) | 64 (16.0) | 40 (10.0) | |
4 Neutral | 153 (25.5) | 98 (24.5) | 88 (22.0) | |
5 Considerable information is provided | 40 (6.6) | 38 (9.5) | 40 (10.0) | |
6 A lot of information is provided | 9 (1.5) | 32 (8.0) | 28 (7.0) | |
7 Very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 2 (0.3) | 20 (5.0) | 16 (4.0) | |
Mean±SD | 2.8±1.3 | 3.3±1.8 | 3.0±1.8 | 0.004†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respondents (%).
* χ2 test.
†Kruskal-Wallis test.
Table 6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 solid waste incinerator
Parameter | Area | ||
---|---|---|---|
A (<0.5 km) | B (0.5~3.0 km) | C (3.0~6.0 km) | |
City Hall website | 12 (1.3) | 22 (4.0) | 23 (4.2) |
Visit to the facility | 58 (6.3) | 21 (3.8) | 29 (5.4) |
Local media (TV, radio) | 125 (13.6) | 139 (25.0) | 117 (21.6) |
Resident support committee | 438 (47.5) | 17 (3.1) | 25 (4.6) |
Related briefings or meetings | 111 (12.0) | 23 (4.1) | 11 (2.0) |
Social media or word of mouth | 155 (16.8) | 200 (36.0) | 238 (43.9) |
Other (etc.) | 2 (0.2) | 29 (5.2) | 24 (4.4) |
Nothing | 21 (2.3) | 105 (18.9) | 75 (13.8)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f respondents (%).
This question allows multiple responses and was excluded from the χ2 test.
Table 7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on satisf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area
Parameter | Satisfaction | Area | Monthly income | Education level | Duration of residence | Air pollution | Foul odor | Noise | Health impact | Psychological impact | Economic impact |
---|---|---|---|---|---|---|---|---|---|---|---|
Satisfaction | 1 | 0.664† | 0.044 | 0.041 | –0.134 | –0.516† | –0.625† | –0.493† | –0.517† | –0.646† | –0.605† |
Area | 1 | 0.117† | 0.082† | –0.226† | –0.488† | –0.601† | –0.498† | –0.489† | –0.668† | –0.642† | |
Monthly income | 1 | 0.404† | –0.032 | 0.106† | 0.052 | 0.012 | -0.048 | 0.037 | 0.074† | ||
Education level | 1 | –0.186† | 0.055* | 0.021 | 0.040 | 0.011 | 0.022 | 0.043 | |||
Duration of residence | 1 | 0.136† | 0.130† | 0.101† | 0.091† | 0.136† | 0.141† | ||||
Air pollution | 1 | 0.828† | 0.642† | 0.502† | 0.636† | 0.607† | |||||
Foul odor | 1 | 0.714† | 0.523† | 0.727† | 0.707† | ||||||
Noise | 1 | 0.460† | 0.562† | 0.551† | |||||||
Health impact | 1 | 0.763† | 0.704† | ||||||||
Psychological impact | 1 | 0.942† | |||||||||
Economic impact | 1 |
*p<0.01, †p<0.001.
pISSN 1738-4087
eISSN 2233-8616
Frequency: Bimonth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