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Article

Split Viewer

Editorial

J Environ Health Sci. 2024; 50(5): i-ii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Outstanding Paper Contest Using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Data: Result Report and Proposal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자료 경진대회: 결과보고 및 제안

Kyoung-Mu Lee

이경무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환경보건법에 근거하여 3년 주기로 혈액과 소변에서 다양한 화학적 유해인자의 노출지표의 수준을 측정하는 국가바이오모니터링 사업으로서,1) 그 결과는 국가승인 통계로 발표되고, 원자료는 연구자나 일반인에 공개된다.2)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2009년부터 제1기 조사가 시작된 이래 제5기 조사(2021~2023년)까지 완료되었고, 현재는 제6기 조사(2024~2026년)가 진행되고 있다.3)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15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사업으로 자리매김하였으나, 그 결과가 학술적인 논문 성과나 정책의 결과를 검증하는 용도 등으로 활용되는 경우는 다른 국가 차원에서 수행되는 연구조사 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고 할 수 있다.4) 각 기수별 조사가 마무리되고 다음 조사가 시작되는 시점에 각 조사의 종합평가 및 차기 조사를 기획하는 과제와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는데, 매번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자료의 적극적인 홍보와 활용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우수논문 경진대회(이하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가 제안된 바 있다.5,6) 그러나, 제5기 자료의 공개를 앞둔 2024년에야 처음으로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그 과정을 간단히 기록으로 남기고 관련하여 몇 가지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는 제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종합평가 과제의 세부 과업으로 포함되었으며, 연구 수행기관인 한국환경보건학회 및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주관하였다. 2024년 4, 5월 동안 타 경진대회에 대한 자문을 거쳐 계획을 수립하고 안내문과 포스터를 제작하였으며, 6~8월 동안 국내 관련 학회, 보건대학원, 웹사이트 등에 홍보하였다. 사전 논의를 거쳐 수상자를 ‘대학(원)생, 연구자 등’으로, ‘논문접수일을 기준으로 게재확정이 되지 않은 논문’으로 명시하였다. 한국환경보건학회 2004년 봄학술대회에서는 자료집의 뒷면 표지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신청서 제출 마감일인 8월 15일까지 총 32건의 신청서가 접수되었고, 논문 접수 마감일인 9월 30일까지 총 24편의 논문(신청서 대비 75%)이 접수되었다.

접수된 논문은 대부분 제4기 자료, 특히 성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부는 제1~4기 동안의 전 기간의 자료를 활용하거나(6건), 최근의 3기 또는 4기를 통합하여 분석한 경우(2건)도 있었다. 동일한 교신저자로 4편을 제출한 경우가 1명, 3편인 경우가 1명, 2편인 경우가 2명이었으며, 나머지는 모두 1편씩을 제출하였다. 논문의 주제를 노출평가와 건강영향으로 나누었을 때 약 60%가 노출평가에 해당하였다. 물질별로는 과불화화합물, 중금속, 코티닌, 비스페놀A, 프탈레이트, 다환성방향족탄화수소(PAH) 등 다양했으나, 제4기 조사에서부터 측정하기 시작한 과불화화합물 대사체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한 경우가 5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여러 물질의 측정치를 통합적으로 모두 분석한 경우도 있었다.

접수된 논문에 대해 서류확인, 적합성, 중복성 등의 간단한 확인절차를 거쳤으며, 이후 16인(우수논문 선정위원회 위원 5명, 한국환경보건학회 편집이사 7명, 그 외 환경보건 분야 연구자 4명)의 심사위원을 선정하여 4~5편씩 배정하였다. 각 접수논문에 대해서는 총 3명의 심사위원이 배정되었으며, 평가항목은 연구주제(독창성, 시의성), 연구방법(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자료의 활용성, 분석 방법의 적절성), 연구결과(표/그림 등의 간결성, 연구결과의 활용성), 고찰/결론(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 고찰 등, 결과에 기반한 결론), 논문의 완성도(논리적/체계적 구성, 문법/표현/참고문헌 표기 등)의 다섯 가지 범주로서 2점, 4점, 6점, 8점, 10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고, 수상작으로 추천하는지 여부와 그 이유도 함께 조사하였다. 총 5명으로 구성된 우수논문 선정위원회에서는 10월 15일 심사결과 점수를 표준화한 결과, 추천 횟수, 그리고 주제의 중복 등 추가적인 고려사항을 기반으로 대상 1명, 우수상 2명, 장려상 3명을 선정하였고, 추가적으로 학부생이 제1저자인 논문 중에서 가장 우수한 한 편에 대해 특별상을 수여하기로 하였다. 수상작은 10월 18일에 한국환경보건학회 홈페이지 및 개인 이메일로 통보하였다. 상장과 상금은 11월 7일 한국환경보건학회 가을학술대회의 개회식에서 수여되며, 수상작을 포함한 논문 10편은 2개의 세션(‘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 (노출평가)’ 및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 (건강영향)’)에서 소개될 예정이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와 관련하여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 충분한 홍보와 논문작성, 그리고 심사기간을 확보하기 위해 좀 더 여유있는 일정(예: 전체 기간 8~10개월)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2. 주저자의 직위 구분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으며, 수상작 선정 시 학부, 석사과정, 박사과정 이상 등으로 구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3. 논문의 내용을 기반으로 노출평가와 건강영향(노출수준과 임상지표의 연관성)으로 구분하고 각 분야에 수상작을 일부 할당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건강영향 부분이 타 연구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인식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권장할 수 있으며, 타 분야 전공의 심사위원이 특정분야의 연구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4. 심사 시 논문의 분야를 몇 가지로 구분한 다음, 각 그룹의 논문을 평가할 심사위원 풀을 구성하고, 동일 분야 내에서는 각 논문을 심사하는 심사위원을 가급적 랜덤하게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예산 배정 시 상금 이외에도 홍보, 심사비, 발표 장소에 대한 임차비, 발표자의 학술대회 등록비, 교통비 등도 포함할 필요가 있다.

6. 제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자료가 공개된 이후 두 번째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매년 개최하는 것보다는 2년 또는 조사 주기에 맞추어 3년에 한 번씩 경진대회를 개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health act. Available: https://www.law.go.kr/%EB%B2%95%EB%A0%B9/%ED%99%98%EA%B2%BD%EB%B3%B4%EA%B1%B4%EB%B2%95 [accessed 25 October 2024].
  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Regulations on procedures for using raw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Available: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214800# [accessed 25 October 2024].
  3. Korea Disease Control Prevention Agency.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list of papers. Available: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3/sub03_05.do [accessed 25 October 2024].
  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NIER).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third annual report of cycle 5. Incheon: NIER; 2023. Report No.: NIER-RP2023-074.
  5. National Institute Environment Research (NI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and roadmap of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Incheon: NIER; 2020 Dec. Report No.: NIER-SP2020-311.

Article

Editorial

J Environ Health Sci. 2024; 50(5): i-ii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Outstanding Paper Contest Using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Data: Result Report and Proposal

Kyoung-Mu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ody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환경보건법에 근거하여 3년 주기로 혈액과 소변에서 다양한 화학적 유해인자의 노출지표의 수준을 측정하는 국가바이오모니터링 사업으로서,1) 그 결과는 국가승인 통계로 발표되고, 원자료는 연구자나 일반인에 공개된다.2)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2009년부터 제1기 조사가 시작된 이래 제5기 조사(2021~2023년)까지 완료되었고, 현재는 제6기 조사(2024~2026년)가 진행되고 있다.3)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15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사업으로 자리매김하였으나, 그 결과가 학술적인 논문 성과나 정책의 결과를 검증하는 용도 등으로 활용되는 경우는 다른 국가 차원에서 수행되는 연구조사 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고 할 수 있다.4) 각 기수별 조사가 마무리되고 다음 조사가 시작되는 시점에 각 조사의 종합평가 및 차기 조사를 기획하는 과제와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는데, 매번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자료의 적극적인 홍보와 활용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우수논문 경진대회(이하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가 제안된 바 있다.5,6) 그러나, 제5기 자료의 공개를 앞둔 2024년에야 처음으로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그 과정을 간단히 기록으로 남기고 관련하여 몇 가지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는 제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종합평가 과제의 세부 과업으로 포함되었으며, 연구 수행기관인 한국환경보건학회 및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주관하였다. 2024년 4, 5월 동안 타 경진대회에 대한 자문을 거쳐 계획을 수립하고 안내문과 포스터를 제작하였으며, 6~8월 동안 국내 관련 학회, 보건대학원, 웹사이트 등에 홍보하였다. 사전 논의를 거쳐 수상자를 ‘대학(원)생, 연구자 등’으로, ‘논문접수일을 기준으로 게재확정이 되지 않은 논문’으로 명시하였다. 한국환경보건학회 2004년 봄학술대회에서는 자료집의 뒷면 표지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신청서 제출 마감일인 8월 15일까지 총 32건의 신청서가 접수되었고, 논문 접수 마감일인 9월 30일까지 총 24편의 논문(신청서 대비 75%)이 접수되었다.

접수된 논문은 대부분 제4기 자료, 특히 성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부는 제1~4기 동안의 전 기간의 자료를 활용하거나(6건), 최근의 3기 또는 4기를 통합하여 분석한 경우(2건)도 있었다. 동일한 교신저자로 4편을 제출한 경우가 1명, 3편인 경우가 1명, 2편인 경우가 2명이었으며, 나머지는 모두 1편씩을 제출하였다. 논문의 주제를 노출평가와 건강영향으로 나누었을 때 약 60%가 노출평가에 해당하였다. 물질별로는 과불화화합물, 중금속, 코티닌, 비스페놀A, 프탈레이트, 다환성방향족탄화수소(PAH) 등 다양했으나, 제4기 조사에서부터 측정하기 시작한 과불화화합물 대사체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한 경우가 5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여러 물질의 측정치를 통합적으로 모두 분석한 경우도 있었다.

접수된 논문에 대해 서류확인, 적합성, 중복성 등의 간단한 확인절차를 거쳤으며, 이후 16인(우수논문 선정위원회 위원 5명, 한국환경보건학회 편집이사 7명, 그 외 환경보건 분야 연구자 4명)의 심사위원을 선정하여 4~5편씩 배정하였다. 각 접수논문에 대해서는 총 3명의 심사위원이 배정되었으며, 평가항목은 연구주제(독창성, 시의성), 연구방법(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자료의 활용성, 분석 방법의 적절성), 연구결과(표/그림 등의 간결성, 연구결과의 활용성), 고찰/결론(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 고찰 등, 결과에 기반한 결론), 논문의 완성도(논리적/체계적 구성, 문법/표현/참고문헌 표기 등)의 다섯 가지 범주로서 2점, 4점, 6점, 8점, 10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고, 수상작으로 추천하는지 여부와 그 이유도 함께 조사하였다. 총 5명으로 구성된 우수논문 선정위원회에서는 10월 15일 심사결과 점수를 표준화한 결과, 추천 횟수, 그리고 주제의 중복 등 추가적인 고려사항을 기반으로 대상 1명, 우수상 2명, 장려상 3명을 선정하였고, 추가적으로 학부생이 제1저자인 논문 중에서 가장 우수한 한 편에 대해 특별상을 수여하기로 하였다. 수상작은 10월 18일에 한국환경보건학회 홈페이지 및 개인 이메일로 통보하였다. 상장과 상금은 11월 7일 한국환경보건학회 가을학술대회의 개회식에서 수여되며, 수상작을 포함한 논문 10편은 2개의 세션(‘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 (노출평가)’ 및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 (건강영향)’)에서 소개될 예정이다.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와 관련하여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 충분한 홍보와 논문작성, 그리고 심사기간을 확보하기 위해 좀 더 여유있는 일정(예: 전체 기간 8~10개월)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2. 주저자의 직위 구분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으며, 수상작 선정 시 학부, 석사과정, 박사과정 이상 등으로 구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3. 논문의 내용을 기반으로 노출평가와 건강영향(노출수준과 임상지표의 연관성)으로 구분하고 각 분야에 수상작을 일부 할당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건강영향 부분이 타 연구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인식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권장할 수 있으며, 타 분야 전공의 심사위원이 특정분야의 연구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4. 심사 시 논문의 분야를 몇 가지로 구분한 다음, 각 그룹의 논문을 평가할 심사위원 풀을 구성하고, 동일 분야 내에서는 각 논문을 심사하는 심사위원을 가급적 랜덤하게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예산 배정 시 상금 이외에도 홍보, 심사비, 발표 장소에 대한 임차비, 발표자의 학술대회 등록비, 교통비 등도 포함할 필요가 있다.

6. 제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자료가 공개된 이후 두 번째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경진대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매년 개최하는 것보다는 2년 또는 조사 주기에 맞추어 3년에 한 번씩 경진대회를 개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References

  1.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health act. Available: https://www.law.go.kr/%EB%B2%95%EB%A0%B9/%ED%99%98%EA%B2%BD%EB%B3%B4%EA%B1%B4%EB%B2%95 [accessed 25 October 2024].
  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Regulations on procedures for using raw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Available: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214800# [accessed 25 October 2024].
  3. Korea Disease Control Prevention Agency.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list of papers. Available: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3/sub03_05.do [accessed 25 October 2024].
  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NIER).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third annual report of cycle 5. Incheon: NIER; 2023. Report No.: NIER-RP2023-074.
  5. National Institute Environment Research (NI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and roadmap of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Incheon: NIER; 2020 Dec. Report No.: NIER-SP2020-311.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Vol.50 No.6
December, 2024

pISSN 1738-4087
eISSN 2233-8616

Frequency: Bimonthly

Current Issue   |   Archives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