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Article

Split Viewer

Editorial

J Environ Health Sci. 2022; 48(2): i-i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Editor’s Picks for the Present Issue, 48(2)

이번 호의 주목할 논문 - 48권 2호

Sungkyoon Kim

김성균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Editor-in-chief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편집위원장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이번 호는 총 8편의 논문으로 구성되는데, 총 2편을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서희정 등의 “광주지역 지하수 중 우라늄과 라돈의 함량 분포 특성”은 자연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U)과 라돈(Rn) 분포를 전남 광주 인근 지하수 공급시설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한 논문이다. 우라늄이 90년대 말 대전 지역 지하수에서 검출 보고된 이래 환경부는 전국적인 실태 조사를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쟁과 재난시 사용되는 62개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을 대상으로 도심 지하수의 실태를 살펴봤다는데 의의가 있다. 조사결과 두 물질의 중위수(0.9 μg/L – U; 59.6 Bq/L - Rn)는 전체적으로 먹는물 수질 기준(30 μg/L – U; 148 Bq/L – Rn)에 대부분 못 미쳤으나 7곳에서 라돈의 감시기준이 초과 검출되었다. 비록, 타지역1)보다 높은 빈도의 오염이 아니고 시민의 일상적 노출이 없다는 점에서 당장의 큰 문제는 아니라 생각할 수 있지만 비상 상황은 대비해야 한다. 특히, 화강암 지반으로 이루어진 지역에 이들 물질의 검출 빈도가 높다고 한다. 따라서, 지하수를 식수 또는 농업용수로 사용할 때 수질검사가 필요하다. 논문은 활성탄 및 저류(storage)/폭기(aeration)처리가 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수단이 될 수 있음도 제안하고 있다.

최수은 등의 “국내 출시 마스크의 바이오에어로졸 여과효율 평가”에서 시판되는 마스크의 판매량과 모양을 고려해 KF94 - 2종, 외과용 덴탈 마스크 - 1종, 비말차단용 마스크 - 1종, 방진마스크 - 2종을 선택하고 세균(황색포도상구균)과 바이러스(쥐 코로나바이러스)의 투과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보고한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에어로졸에 대한 마스크 재질의 차단 능력이 확인되었지만(각각 97.7%, 99.6% 이상의 필터링 효과), 마스크가 얼굴에 밀착되지 못하면 차단 효과가 반감 또는 무력화된다. 앞으로 새로운 변이/우세종이 나타나지 않으면 코로나-19의 광범위한 유행도 잦아들고 실외 마스크 착용도 자율에 맡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종식은 더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스크는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라는 점에서 올바른 착용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강조하는 연구라 할 수 있겠다.

  1. Cho BW. Radon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of Korea. J Eng Geol. 2018; 28(4): 661-672.

Article

Editorial

J Environ Health Sci. 2022; 48(2): i-i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2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Editor’s Picks for the Present Issue, 48(2)

Sungkyoon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Editor-in-chief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ody

이번 호는 총 8편의 논문으로 구성되는데, 총 2편을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서희정 등의 “광주지역 지하수 중 우라늄과 라돈의 함량 분포 특성”은 자연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U)과 라돈(Rn) 분포를 전남 광주 인근 지하수 공급시설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한 논문이다. 우라늄이 90년대 말 대전 지역 지하수에서 검출 보고된 이래 환경부는 전국적인 실태 조사를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쟁과 재난시 사용되는 62개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을 대상으로 도심 지하수의 실태를 살펴봤다는데 의의가 있다. 조사결과 두 물질의 중위수(0.9 μg/L – U; 59.6 Bq/L - Rn)는 전체적으로 먹는물 수질 기준(30 μg/L – U; 148 Bq/L – Rn)에 대부분 못 미쳤으나 7곳에서 라돈의 감시기준이 초과 검출되었다. 비록, 타지역1)보다 높은 빈도의 오염이 아니고 시민의 일상적 노출이 없다는 점에서 당장의 큰 문제는 아니라 생각할 수 있지만 비상 상황은 대비해야 한다. 특히, 화강암 지반으로 이루어진 지역에 이들 물질의 검출 빈도가 높다고 한다. 따라서, 지하수를 식수 또는 농업용수로 사용할 때 수질검사가 필요하다. 논문은 활성탄 및 저류(storage)/폭기(aeration)처리가 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수단이 될 수 있음도 제안하고 있다.

최수은 등의 “국내 출시 마스크의 바이오에어로졸 여과효율 평가”에서 시판되는 마스크의 판매량과 모양을 고려해 KF94 - 2종, 외과용 덴탈 마스크 - 1종, 비말차단용 마스크 - 1종, 방진마스크 - 2종을 선택하고 세균(황색포도상구균)과 바이러스(쥐 코로나바이러스)의 투과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보고한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에어로졸에 대한 마스크 재질의 차단 능력이 확인되었지만(각각 97.7%, 99.6% 이상의 필터링 효과), 마스크가 얼굴에 밀착되지 못하면 차단 효과가 반감 또는 무력화된다. 앞으로 새로운 변이/우세종이 나타나지 않으면 코로나-19의 광범위한 유행도 잦아들고 실외 마스크 착용도 자율에 맡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종식은 더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스크는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라는 점에서 올바른 착용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강조하는 연구라 할 수 있겠다.

References

  1. Cho BW. Radon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of Korea. J Eng Geol. 2018; 28(4): 661-672.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Vol.49 No.4
August, 2023

pISSN 1738-4087
eISSN 2233-8616

Frequency: Bimonthly

Current Issue   |   Archives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