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 Environ Health Sci. 2025; 51(1): i-ii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Wonho Yang
양원호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한국환경보건학회의 학회장에서 이임하며, 많은 회원께서 학회의 성장에 대한 감사와 칭찬의 말씀을 전해주셨습니다. 그러나 성장은 단순한 규모의 확장이 아니라, 질적 발전과 내실 있는 성장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쉬움과 한계를 느끼기도 하지만,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점검하며 미래를 향한 도전과 발전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1년 학회장 취임 당시, 학회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첫째, 회원 간 활발한 교류를 통해 최신 환경보건 이슈와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연구 및 학술 활동을 강화하는 것. 둘째,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환경보건 정책 마련과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 셋째, 학술대회를 활성화하여 지식과 경험을 나누며 협력과 네트워킹을 확대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의미 있는 기념행사를 개최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환경보건학이 공학, 자연과학, 의학의 중간 영역으로 인식되는 현실 속에서 다양한 회원들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기는 쉽지 않았으며,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면 학술대회 개최가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더욱더 포괄적이고 도전적인 자세를 취하였으며, “한번 해보자”라는 개척 정신이 학회의 성장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신은 앞으로도 우리가 지속해서 추구해야 할 가치입니다.
학회의 발전은 학술지의 질과 학술대회의 수준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이 연구 결과를 논문화하여 학술지에 게재해야 하지만, 대부분 국제학술지(SCIE)를 목표로 하면서 국내 학술지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다행히도 우리 학술지는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우수등재학술지로 선정되며 그 역량을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2022년 5월 5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고, 이어진 가을 학술대회를 제주도에서 성대하게 진행하며 학회의 학술적 역량을 대내외에 입증하였습니다. 앞으로 환경보건학의 핵심 분야를 심도 있게 논의하고 연구해야 합니다. 환경보건학은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요인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학문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환경 요인 분석: 대기, 수질, 토양, 방사선, 화학물질 등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
• 건강 위해 예방 및 관리: 환경 유해 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공중보건을 증진하는 것.
• 정책 및 기술 개발: 환경보건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기술 혁신 및 교육을 통해 지속 가능한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
• 지속 가능한 발전: 기후변화와 같은 글로벌 환경 문제에 대응하며 건강과 환경의 조화를 이루는 사회를 구축하는 것.
비록 지난 4년 동안 많은 성과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습니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지속 가능한 연구와 혁신: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환경보건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연구 및 혁신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 학문과 실무의 융합: 연구 결과가 환경보건 정책 및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학문과 실무 간 경계를 허물고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 국제적 네트워크 확장: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 협력과 정보 교류를 확대하여 한국환경보건학회의 위상을 강화하고, 글로벌 환경보건 문제해결에 기여해야 합니다.
• 교육 및 후학 양성: 디지털 교육 플랫폼 구축 등 종합적인 접근을 통해 환경보건 교육 수준을 향상하고, 미래를 이끌어 갈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해야 합니다.
지난 4년 동안 우리가 함께 이룬 성과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 걸음씩 나아가길 바랍니다. 환경보건 분야의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계속 함께해 주시길 바라며, 이 자리를 빌려 진심 어린 감사를 전합니다.
J Environ Health Sci. 2025; 51(1): i-ii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Wonho Yang
Department of Health and Safety, Daegu Catholic Universit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한국환경보건학회의 학회장에서 이임하며, 많은 회원께서 학회의 성장에 대한 감사와 칭찬의 말씀을 전해주셨습니다. 그러나 성장은 단순한 규모의 확장이 아니라, 질적 발전과 내실 있는 성장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쉬움과 한계를 느끼기도 하지만,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점검하며 미래를 향한 도전과 발전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1년 학회장 취임 당시, 학회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첫째, 회원 간 활발한 교류를 통해 최신 환경보건 이슈와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연구 및 학술 활동을 강화하는 것. 둘째,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환경보건 정책 마련과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 셋째, 학술대회를 활성화하여 지식과 경험을 나누며 협력과 네트워킹을 확대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의미 있는 기념행사를 개최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환경보건학이 공학, 자연과학, 의학의 중간 영역으로 인식되는 현실 속에서 다양한 회원들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기는 쉽지 않았으며,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면 학술대회 개최가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더욱더 포괄적이고 도전적인 자세를 취하였으며, “한번 해보자”라는 개척 정신이 학회의 성장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신은 앞으로도 우리가 지속해서 추구해야 할 가치입니다.
학회의 발전은 학술지의 질과 학술대회의 수준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이 연구 결과를 논문화하여 학술지에 게재해야 하지만, 대부분 국제학술지(SCIE)를 목표로 하면서 국내 학술지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다행히도 우리 학술지는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우수등재학술지로 선정되며 그 역량을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2022년 5월 5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고, 이어진 가을 학술대회를 제주도에서 성대하게 진행하며 학회의 학술적 역량을 대내외에 입증하였습니다. 앞으로 환경보건학의 핵심 분야를 심도 있게 논의하고 연구해야 합니다. 환경보건학은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요인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학문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환경 요인 분석: 대기, 수질, 토양, 방사선, 화학물질 등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
• 건강 위해 예방 및 관리: 환경 유해 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공중보건을 증진하는 것.
• 정책 및 기술 개발: 환경보건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기술 혁신 및 교육을 통해 지속 가능한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
• 지속 가능한 발전: 기후변화와 같은 글로벌 환경 문제에 대응하며 건강과 환경의 조화를 이루는 사회를 구축하는 것.
비록 지난 4년 동안 많은 성과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습니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지속 가능한 연구와 혁신: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환경보건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연구 및 혁신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 학문과 실무의 융합: 연구 결과가 환경보건 정책 및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학문과 실무 간 경계를 허물고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 국제적 네트워크 확장: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 협력과 정보 교류를 확대하여 한국환경보건학회의 위상을 강화하고, 글로벌 환경보건 문제해결에 기여해야 합니다.
• 교육 및 후학 양성: 디지털 교육 플랫폼 구축 등 종합적인 접근을 통해 환경보건 교육 수준을 향상하고, 미래를 이끌어 갈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해야 합니다.
지난 4년 동안 우리가 함께 이룬 성과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 걸음씩 나아가길 바랍니다. 환경보건 분야의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계속 함께해 주시길 바라며, 이 자리를 빌려 진심 어린 감사를 전합니다.
pISSN 1738-4087
eISSN 2233-8616
Frequency: Bimonth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