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Article

Split Viewer

Editorial

J Environ Health Sci. 2024; 50(6): i-ii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Introduction of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for the Advancement of Chemical Monitoring Scheme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체계 고도화를 위한 추정ㆍ비표적 분석기법의 도입

Yunsun Jeong

정윤선

Korea Environment Institute

한국환경연구원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현대사회에서 화학물질은 인간의 삶에 밀접하게 개입되어 있으며, 다양한 생활용품, 의약품, 개인 기호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화학물질의 사용량 증가는 필연적으로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을 증가시키며, 결과적으로 인간과 환경 중 노출량 증가를 초래한다. 유해화학물질의 노출은 만성질환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될 뿐만 아니라1) 사회적으로 불안감을 일으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농도 현황 및 추세 파악을 위해 유해화학물질의 모니터링을 수행 중이며 우리나라도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잔류성오염물질 측정망 등 여러 체계를 통해 유해화학물질 오염을 감시 중이다.

하지만 현재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체계는 모니터링 대상 물질을 기선정하는 표적 분석(Target analysis) 기반으로 수행되며, 이는 분석할 수 있는 화학물질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화학물질 관리의 사각지대를 초래한다. 이러한 한계의 보완을 위해 ‘추정∙비표적 분석기법(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SNTS)’의 도입이 학계 및 다양한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SNTS는 높은 분해능을 가진 고도의 분석기기를 활용하여 물질의 대량 스크리닝과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유해 우려 물질을 확인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 SNTS 분석을 통해 표적 분석이 가지고 있는 모니터링 물질의 범위를 유의미하게 넓힐 수 있으며, 이는 유해화학물질의 선제적 발견을 가능케 하여 모니터링 체계가 감시의 역할에 더 충실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SNTS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기관은 유럽의 NORMAN 네트워크2)와 미국 환경보호청(US EPA)3)으로, 주로 실험실 간 SNTS 기술 검증 실험, 정도관리 기법 개발,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공유, 표준화된 분석법 개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나아가 영국,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스위스 등에서도 SNTS의 활용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유럽의 대형 프로젝트 중 하나인 인체 모니터링 연구(Human Biomonitoring for European Union, HBM4EU)4),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파트너십(Partnership for the Assessment of Risks from Chemicals, PARC)5)에서도 SNTS의 활용을 적극 연구하고 있다.

국내 SNTS 연구는 2018년부터 수행됐다. 주요 연구 수행 내용은 SNTS 분석법 개발과 더불어 다양한 SNTS의 활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그 내용은 화학물질 관리, 유해화학물질 노출 감시, 독성영향평가 및 건강영향 평가, 노출 수사 및 모니터링 기법의 고도화를 포함한다. 확인된 과제 수행 주체 중 일부는 국립환경과학원으로, 대부분의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체계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주관됨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모니터링 체계 내 SNTS 기술의 응용이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체계에 SNTS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활용 기반이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선 SNTS 표준 분석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 일관성 있는 분석과 결과 보고가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계속해서 새로운 물질이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국가 추정분석 목록을 마련해야 하며 향후 새로운 우려물질 대두 시 회고적 분석을 위해 필요한 질량분석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나아가 SNTS를 통해 확인되는 물질이 그 확인될 수 있는 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정책적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용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SNTS 또는 유해화학물질 전문가 협의체가 구축되어 앞서 언급한 과정 내에서 지속적인 기술적, 경험적 조언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내 유해화학물질 체계의 SNTS 도입은 기존의 모니터링 체계를 보완하는 과학적이고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현재 유해화학물질 관리의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SNTS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정책적 활용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생태계와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Status and issues of chronic diseases 2023. Cheongju: KDCA; 2023.
  2. Network of reference laboratories, research centres, and related organisations for monitoring of emerging environmental substances (NORMAN network). Available: https://www.normandata.eu/ [accessed 20 December 2024].
  3.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Non-targeted analysis research. Available: https://www.epa.gov/chemical-research/non-targeted-analysis-research [accessed 20 December 2024].
  4. Human Biomonitoring for European Union (HBM4EU). Available: https://www.hbm4eu.eu/about-us/ [accessed 21 December 2024].
  5. Partnership for the Assessment of Risks from Chemicals (PARC). Available: https://www.eu-parc.eu/ [accessed 21 December 2024].

Article

Editorial

J Environ Health Sci. 2024; 50(6): i-ii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Introduction of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for the Advancement of Chemical Monitoring Scheme

Yunsun Jeo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ody

현대사회에서 화학물질은 인간의 삶에 밀접하게 개입되어 있으며, 다양한 생활용품, 의약품, 개인 기호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화학물질의 사용량 증가는 필연적으로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을 증가시키며, 결과적으로 인간과 환경 중 노출량 증가를 초래한다. 유해화학물질의 노출은 만성질환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될 뿐만 아니라1) 사회적으로 불안감을 일으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농도 현황 및 추세 파악을 위해 유해화학물질의 모니터링을 수행 중이며 우리나라도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잔류성오염물질 측정망 등 여러 체계를 통해 유해화학물질 오염을 감시 중이다.

하지만 현재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체계는 모니터링 대상 물질을 기선정하는 표적 분석(Target analysis) 기반으로 수행되며, 이는 분석할 수 있는 화학물질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화학물질 관리의 사각지대를 초래한다. 이러한 한계의 보완을 위해 ‘추정∙비표적 분석기법(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SNTS)’의 도입이 학계 및 다양한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SNTS는 높은 분해능을 가진 고도의 분석기기를 활용하여 물질의 대량 스크리닝과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유해 우려 물질을 확인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 SNTS 분석을 통해 표적 분석이 가지고 있는 모니터링 물질의 범위를 유의미하게 넓힐 수 있으며, 이는 유해화학물질의 선제적 발견을 가능케 하여 모니터링 체계가 감시의 역할에 더 충실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SNTS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기관은 유럽의 NORMAN 네트워크2)와 미국 환경보호청(US EPA)3)으로, 주로 실험실 간 SNTS 기술 검증 실험, 정도관리 기법 개발, 데이터베이스 개발 및 공유, 표준화된 분석법 개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나아가 영국,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스위스 등에서도 SNTS의 활용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유럽의 대형 프로젝트 중 하나인 인체 모니터링 연구(Human Biomonitoring for European Union, HBM4EU)4),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파트너십(Partnership for the Assessment of Risks from Chemicals, PARC)5)에서도 SNTS의 활용을 적극 연구하고 있다.

국내 SNTS 연구는 2018년부터 수행됐다. 주요 연구 수행 내용은 SNTS 분석법 개발과 더불어 다양한 SNTS의 활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그 내용은 화학물질 관리, 유해화학물질 노출 감시, 독성영향평가 및 건강영향 평가, 노출 수사 및 모니터링 기법의 고도화를 포함한다. 확인된 과제 수행 주체 중 일부는 국립환경과학원으로, 대부분의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체계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주관됨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모니터링 체계 내 SNTS 기술의 응용이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체계에 SNTS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활용 기반이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선 SNTS 표준 분석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 일관성 있는 분석과 결과 보고가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계속해서 새로운 물질이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국가 추정분석 목록을 마련해야 하며 향후 새로운 우려물질 대두 시 회고적 분석을 위해 필요한 질량분석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나아가 SNTS를 통해 확인되는 물질이 그 확인될 수 있는 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정책적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용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SNTS 또는 유해화학물질 전문가 협의체가 구축되어 앞서 언급한 과정 내에서 지속적인 기술적, 경험적 조언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내 유해화학물질 체계의 SNTS 도입은 기존의 모니터링 체계를 보완하는 과학적이고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현재 유해화학물질 관리의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SNTS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정책적 활용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생태계와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Status and issues of chronic diseases 2023. Cheongju: KDCA; 2023.
  2. Network of reference laboratories, research centres, and related organisations for monitoring of emerging environmental substances (NORMAN network). Available: https://www.normandata.eu/ [accessed 20 December 2024].
  3.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Non-targeted analysis research. Available: https://www.epa.gov/chemical-research/non-targeted-analysis-research [accessed 20 December 2024].
  4. Human Biomonitoring for European Union (HBM4EU). Available: https://www.hbm4eu.eu/about-us/ [accessed 21 December 2024].
  5. Partnership for the Assessment of Risks from Chemicals (PARC). Available: https://www.eu-parc.eu/ [accessed 21 December 2024].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Vol.50 No.6
December, 2024

pISSN 1738-4087
eISSN 2233-8616

Frequency: Bimonthly

Current Issue   |   Archives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