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J Environ Health Sci. 2021; 47(3)
Published online June 30, 202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한국환경보건학회 편집위원회
한국환경보건학회 편집위원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학회 설립 50주년을 맞이하여 우리 학회지에 몇 가지 큰 변화가 있어 공지합니다. 이는 크게 논문 편집과 열람에 대한 것입니다. 투고 논문의 유형은 지난 2월호에 사전 공고 드렸습니다. 충분한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이번 호부터 일부 적용 중입니다. 관련된 후속 작업으로 투고 논문 진행 중고 투고 규정의 수정(초록 형식 변경 등)과 함께 8월호부터 이를 적용하고자 합니다. 추가적으로, 논문의 투고 및 심사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의 시범 운영 및 정식 개통 일정도 알려 드립니다.
한국환경보건학회지에 실리는 논문 중 심사(Peer-review)를 거친 것만 권호-페이지번호가 부여됩니다. 최초 투고된 논문의 심사 여부는 편집위원회가 결정하며 800단어 이상의 원저, 종설, 연구단신 및 시론이 그 대상입니다.
투고 논문의 유형은 원저(Original), 종설(Review) 외에 연구단신(Short communication), 시론(Perspectives), 서신(Correspondence)으로 확정합니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 표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Table 1 환경보건학회지 투고 대상 논문의 유형별 특성 및 심사 여부
논문 유형 | 초록 | 본문 | 사독여부 | 비고 |
---|---|---|---|---|
원저 (Originals) | 구조화, ~300단어 | IMRD, ~7,000단어 | O | 타 저널에 발표되지 않은 중요한 학술적 발견에 대한 논문 |
종설 (Reviews) | 구조화, ~300단어 | IMRD, ~10,000단어 | O | 특정 주제와 관련 자료를 모아 포괄적으로 분석해 리서치 갭을 찾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 리뷰 또는 체계적 문헌 고찰 |
연구 단신 (Short communications) | 불필요 | IMRD, ~800단어 | O | 중요하고 신속한 보고가 필요한 학술 소논문 |
시론(Perspectives) -일반 | 비구조화, ~300단어 | IMRD(권장), ~5,000단어 | O | 특정 현안 관련 비평, 컬럼 |
시론(Perspectives) -짧은 시론 | 불필요 | ~750단어 | X | 특정 현안 관련 짧은 비평(코멘트) |
서신 (Correspondence) | 불필요 | ~400단어 | X | Letter to editor, Response |
편집인의 글 (Editorial) | 불필요 | ~2,000단어 | X | 환경보건 현안 또는 학술지 발간 논문에 대한 편집위원회의 논평 |
주: IMRD -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또는 결과 및 고찰), 결론 형식
초록에 Background (연구배경)을 추가하고 최대 단어 수를 300으로 늘렸습니다. 기존의 초록이 Objectives, Methods, Results, Conclusions 만 있기에 연구 필요성을 추가할 필요가 있었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50단어 정도 추가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는 구조화 초록에 해당합니다. 연구단신(Short communication)을 포함한 짧은 논문(800단어 이하)은 초록을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시론은 구조화된 초록을 제출할 필요는 없습니다. 모든 초록은 영문으로 제출하며 하단에 5개 이하의 핵심어(Keywords)도 제출합니다.
한편, 그림 요약(Graphical abstract)과 3~4줄 요약문(Highlights)의 제출을 권고합니다. 이는 독자들에게 효과적인 내용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저자가 복수이며 소속 기관이 서로 다른 경우, 저자 이름 끝에 어깨번호(예, 1, 2, 3)를 순서에 따라 붙이고, 해당인의 소속 기관 앞에 역시 같은 번호를 붙이도록 했습니다. 이는 이전 방식보다 간결한 표식이며 환경보건학회의 학술대회 발표물의 초록에서 저자 표시와 동일하게 했습니다. 기존의 방식 새로운 저자 소속 표기 방식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예시 논문: 박동욱 등. CMIT/MIT 함유 가습기 살균제 제품의 제조 및 판매 기업 형사판결 1심 재판 판결문에 대한 과학적 고찰 (I).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21; 47(2): 111-12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Corresponding author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86 Daehak-ro, Jongnogu, Seoul 03087, Republic of Korea, Tel: +82-2-3668-4707, Fax: +82-2-741-4701, E-mail: pdw545@gmail.com |
1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2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Corresponding author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86 Daehak-ro, Jongnogu, Seoul 03087, Republic of Korea, Tel: +82-2-3668-4707, Fax: +82-2-741-4701, E-mail: pdw545@gmail.com |
논문 투고와 심사를 새로운 온라인 시스템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논문 투고는 이메일(kseh1971j@gmail.com)과 학회 홈페이지에 부설된 논문 투고용 사이트를 이용하였습니다. 전자는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후자는 이용에 불편이 많았습니다. 이제 저희 환경보건학회지도 유수의 SCI 논문 투고 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준비 중이며 8월호 수록 논문부터 시범운전을 하고자 합니다. 더 진전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전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새로운 온라인 투고/심사 시스템은 영문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이는 투고의 국제표준을 따르고 향후 SCOPUS
등재에 필요한 자격 요건 때문에 그리하였습니다. 다만, 우리 학술지는 국문과 영문 투고물 모두 받고 있기에 투고 시스템에 국문 입출력에 불편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온라인 투고 및 심사 시스템이 공식 가동되고 본궤도에 오를 때까지는 이메일 접수를 하오니 좋은 원고를 많이 투고해 주십시오.
지난 호에 언급 드렸지만, 우리 학술지를 위한 새로운 저널 홈페이지 구축과 발행논문의 DB 작업과 병행되어 진행 중입니다. 이로써 환경보건학회지에 앞으로 실릴 논문과 과거 3년 동안 발행된 논문은 누구나 웹에서 검색해 열람할 수 있게 됩니다. 금년 8월 이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보다 조기에 완공되면 즉시 공지해 드리겠습니다.
J Environ Health Sci. 2021; 47(3): E1-E1
Published online June 30, 2021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한국환경보건학회 편집위원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학회 설립 50주년을 맞이하여 우리 학회지에 몇 가지 큰 변화가 있어 공지합니다. 이는 크게 논문 편집과 열람에 대한 것입니다. 투고 논문의 유형은 지난 2월호에 사전 공고 드렸습니다. 충분한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이번 호부터 일부 적용 중입니다. 관련된 후속 작업으로 투고 논문 진행 중고 투고 규정의 수정(초록 형식 변경 등)과 함께 8월호부터 이를 적용하고자 합니다. 추가적으로, 논문의 투고 및 심사를 위한 온라인 시스템의 시범 운영 및 정식 개통 일정도 알려 드립니다.
한국환경보건학회지에 실리는 논문 중 심사(Peer-review)를 거친 것만 권호-페이지번호가 부여됩니다. 최초 투고된 논문의 심사 여부는 편집위원회가 결정하며 800단어 이상의 원저, 종설, 연구단신 및 시론이 그 대상입니다.
투고 논문의 유형은 원저(Original), 종설(Review) 외에 연구단신(Short communication), 시론(Perspectives), 서신(Correspondence)으로 확정합니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 표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Table 1 . 환경보건학회지 투고 대상 논문의 유형별 특성 및 심사 여부.
논문 유형 | 초록 | 본문 | 사독여부 | 비고 |
---|---|---|---|---|
원저 (Originals) | 구조화, ~300단어 | IMRD, ~7,000단어 | O | 타 저널에 발표되지 않은 중요한 학술적 발견에 대한 논문 |
종설 (Reviews) | 구조화, ~300단어 | IMRD, ~10,000단어 | O | 특정 주제와 관련 자료를 모아 포괄적으로 분석해 리서치 갭을 찾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 리뷰 또는 체계적 문헌 고찰 |
연구 단신 (Short communications) | 불필요 | IMRD, ~800단어 | O | 중요하고 신속한 보고가 필요한 학술 소논문 |
시론(Perspectives) -일반 | 비구조화, ~300단어 | IMRD(권장), ~5,000단어 | O | 특정 현안 관련 비평, 컬럼 |
시론(Perspectives) -짧은 시론 | 불필요 | ~750단어 | X | 특정 현안 관련 짧은 비평(코멘트) |
서신 (Correspondence) | 불필요 | ~400단어 | X | Letter to editor, Response |
편집인의 글 (Editorial) | 불필요 | ~2,000단어 | X | 환경보건 현안 또는 학술지 발간 논문에 대한 편집위원회의 논평 |
주: IMRD -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또는 결과 및 고찰), 결론 형식.
초록에 Background (연구배경)을 추가하고 최대 단어 수를 300으로 늘렸습니다. 기존의 초록이 Objectives, Methods, Results, Conclusions 만 있기에 연구 필요성을 추가할 필요가 있었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50단어 정도 추가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는 구조화 초록에 해당합니다. 연구단신(Short communication)을 포함한 짧은 논문(800단어 이하)은 초록을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시론은 구조화된 초록을 제출할 필요는 없습니다. 모든 초록은 영문으로 제출하며 하단에 5개 이하의 핵심어(Keywords)도 제출합니다.
한편, 그림 요약(Graphical abstract)과 3~4줄 요약문(Highlights)의 제출을 권고합니다. 이는 독자들에게 효과적인 내용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저자가 복수이며 소속 기관이 서로 다른 경우, 저자 이름 끝에 어깨번호(예, 1, 2, 3)를 순서에 따라 붙이고, 해당인의 소속 기관 앞에 역시 같은 번호를 붙이도록 했습니다. 이는 이전 방식보다 간결한 표식이며 환경보건학회의 학술대회 발표물의 초록에서 저자 표시와 동일하게 했습니다. 기존의 방식 새로운 저자 소속 표기 방식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예시 논문: 박동욱 등. CMIT/MIT 함유 가습기 살균제 제품의 제조 및 판매 기업 형사판결 1심 재판 판결문에 대한 과학적 고찰 (I).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21; 47(2): 111-12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Corresponding author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86 Daehak-ro, Jongnogu, Seoul 03087, Republic of Korea, Tel: +82-2-3668-4707, Fax: +82-2-741-4701, E-mail: pdw545@gmail.com |
1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2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Corresponding author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86 Daehak-ro, Jongnogu, Seoul 03087, Republic of Korea, Tel: +82-2-3668-4707, Fax: +82-2-741-4701, E-mail: pdw545@gmail.com |
논문 투고와 심사를 새로운 온라인 시스템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논문 투고는 이메일(kseh1971j@gmail.com)과 학회 홈페이지에 부설된 논문 투고용 사이트를 이용하였습니다. 전자는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후자는 이용에 불편이 많았습니다. 이제 저희 환경보건학회지도 유수의 SCI 논문 투고 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준비 중이며 8월호 수록 논문부터 시범운전을 하고자 합니다. 더 진전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전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새로운 온라인 투고/심사 시스템은 영문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이는 투고의 국제표준을 따르고 향후 SCOPUS
등재에 필요한 자격 요건 때문에 그리하였습니다. 다만, 우리 학술지는 국문과 영문 투고물 모두 받고 있기에 투고 시스템에 국문 입출력에 불편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온라인 투고 및 심사 시스템이 공식 가동되고 본궤도에 오를 때까지는 이메일 접수를 하오니 좋은 원고를 많이 투고해 주십시오.
지난 호에 언급 드렸지만, 우리 학술지를 위한 새로운 저널 홈페이지 구축과 발행논문의 DB 작업과 병행되어 진행 중입니다. 이로써 환경보건학회지에 앞으로 실릴 논문과 과거 3년 동안 발행된 논문은 누구나 웹에서 검색해 열람할 수 있게 됩니다. 금년 8월 이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보다 조기에 완공되면 즉시 공지해 드리겠습니다.
Table 1 환경보건학회지 투고 대상 논문의 유형별 특성 및 심사 여부
논문 유형 | 초록 | 본문 | 사독여부 | 비고 |
---|---|---|---|---|
원저 (Originals) | 구조화, ~300단어 | IMRD, ~7,000단어 | O | 타 저널에 발표되지 않은 중요한 학술적 발견에 대한 논문 |
종설 (Reviews) | 구조화, ~300단어 | IMRD, ~10,000단어 | O | 특정 주제와 관련 자료를 모아 포괄적으로 분석해 리서치 갭을 찾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 리뷰 또는 체계적 문헌 고찰 |
연구 단신 (Short communications) | 불필요 | IMRD, ~800단어 | O | 중요하고 신속한 보고가 필요한 학술 소논문 |
시론(Perspectives) -일반 | 비구조화, ~300단어 | IMRD(권장), ~5,000단어 | O | 특정 현안 관련 비평, 컬럼 |
시론(Perspectives) -짧은 시론 | 불필요 | ~750단어 | X | 특정 현안 관련 짧은 비평(코멘트) |
서신 (Correspondence) | 불필요 | ~400단어 | X | Letter to editor, Response |
편집인의 글 (Editorial) | 불필요 | ~2,000단어 | X | 환경보건 현안 또는 학술지 발간 논문에 대한 편집위원회의 논평 |
주: IMRD -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또는 결과 및 고찰), 결론 형식
pISSN 1738-4087
eISSN 2233-8616
Frequency: Bimonthly